댐정보

한국의댐

충주다목적댐

충주 다목적댐은 한반도의 중심부를 관류하는 남한강 수계에 건설된 국내 최대의 콘크리트 중력식댐으로 남한강 유역이 보유하고 있는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개발하여 하류지역에 각종 용수를 공급하고 수력에너지를 생산하여 첨두전력수요(최대전력소요시기: peak time)에 대처하는 한편 하류지역의 홍수피해를 경감시킬 목적으로 건설된 댐이다.
충북 충주시 종민동과 충주시 동량면 조동리 앞 계곡을 연결하여 남한강의 물줄기를 가로막은 충주댐은 높이 97.5m, 길이 447m, 체적 90만2천㎥, 저수용량 27억5천만㎥의 댐으로써 유역면적이 6,648㎢에 이르는 거대한 댐으로, 본댐 하류 19.6㎞ 지점에는 높이 21m, 길이 480.7m, 수문 20개를 가진 조정지댐을 갖추고 있다. 충주댐은 본댐의 제 1발전소와 조정지댐의 제 2발전소의 용량을 합치면 발전시설용량이 41만 2천 ㎾에 달해 국내 최대의 수력발전소이며, 또한 6억1천6백만 ㎥의 홍수조절 능력을 갖춰 국내 최고를 자랑한다.
충주댐은 1978년 6월 공사를 착수한 이래 8년 6개월 만인 1986년 10월에 완공되었는데, 이 댐이 완공됨으로써 한강인도교의 홍수위를 1m 이상 저하 경감시키고 연간 33억8천만㎥의 각종 용수를 공급해 경인지역과 남한강 유역권의 용수난을 해결하는 한편, 연간 8억4천4백만㎾h의 전력을 생산, 공급하여 국가 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아울러, 충주 탄금대와 중앙탑이 호수로 연결되고 본 댐에서 단양팔경까지 65㎞에 걸친 수상여행 길이 열려 관광자원 개발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일반
하천명 남한강
위치 본댐지점 좌안 충북 충주시 종민동
우안 충북 중원군 동량면 조동리
유역면적 6,648㎢
총사업비 5,551억원
연평균강우량 1,113㎜
연평균유입량 4,872백만㎥
본댐
형식 콘크리트중력식
길이 447m
높이 97.5m
체적 90.2萬㎥
마루표고 147.50ELM
여수로
계획방류량 16,200(㎥/sec)
문비 6문(15.5m×17.9m)
발전소
위치 댐우안 직하부
형식 반지하식 발전소
수차발전기 3상종축 우산형 (Francis)
시설용량 40만kW
정격낙차 57.5m
사용수량 217.5㎥/sec
연간발전량 844백만Kw
저수지
계획홍수위 145.00ELM
상시만수위 141.00ELM
홍수기제한수위 138.00ELM
저수지 110.00ELM
총저수용량 2,750百萬㎥
유효저수용량 1,789百萬㎥
저수면적 97.0㎢
홍수조절용량 616百萬㎥
용수공급량 3,380百萬㎥
조절지댐
형식 문비언
높이 21m
길이 480.7m
유효저수량 17백만㎥
시설용량 1.2만kW
수차발전기 3상횡축 PACKAGE(Tubular)
정격낙차 9.2m
유역개황

한강 유역은 북위 36°30′―38°55′, 동경 126°24′―129°02′에 걸쳐 한반도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본 유역은 전국면적 99,237㎢의 26%에 해당되며 남한강이 12,929㎢(유로연장 375 ㎞)이고 북한강은 D.M.Z 이북 3,114㎢를 포함하여 10,698㎢(유로연장 317.5㎞)이며, 한강 본류는 팔당댐에서 하구까지 2,592㎢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한강유역 지형을 구분해 보면 남북한강이 합류하는 팔당댐에서 한강과 섬진강의 합류점까지 약 160.7㎞ 구간은 표고 200-700m로써 대부분 계곡사이의 평탄한 저지대에 위치하여 약 0.1-0.2m/㎞의 구배를 이루고 있다.
남한강 유역은 오대산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흐르다가 충주 부근에서 북서로 전류하여 북한강과 합류한다. 본유역의 상류부는 고산지대로 V자형을 이루는 협곡으로 되어 있으며 제천, 충주, 여주, 이천 지역은 넓은 준평원 지대를 이루고 있다. 이 지역의 평균하폭은 약 600m, 하천구배는 0.8∼4.30m/㎞로서 상류로 올라갈수록 급격히 증가된다. 충주 다목적댐은 남한강 상류, 충주시 북동쪽 약 9㎞ 지점에 위치하며 좌안은 충주시, 우안은 중원군과 접하고 그 규모는 높이 97.5m, 길이 447m, 체적 902,000㎥인 국내 최대의 콘크리트 중력식 댐으로서 본댐 하류 19.6㎞ 지점의 중원 군 가금면 장천리와 금가면 월상리를 연결하는 높이 21m, 길이 480.7m 수문 20개의 조정지댐을 갖추고 있다. 조정지댐은 본댐의 홍수조절을 도와주고 본댐 발전으로 한꺼번에 흘러내린 물을 일단 저축하였다가 24시간 고르게 하류로 용수공급(평균 107.2㎥/s)을 하면서 동시에 발전도 하게 된다.

건설배경

4대강유역 종합개발 계획의 일환으로 시행한 충주다목적댐 건설사업은 한강 수계가 보유하고 있는 수자원을 고도로 개발하여 수도권을 비롯한 댐하류 지역에 관개, 생활 및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동시에 발전 및 홍수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다목적댐 개발 사업이다.
충주다목적댐이 위치한 남한강은 태백산맥 내의 한강 최극단에서 발원하며 유역면적은 약 12,514㎢, 유로연장 375㎞에 달하는 대하천으로서 서울 동쪽 약 20㎞ 지점에서 북한강과 합류하여 한강 본류를 형성한다.
주요 시설물은 본댐 외에 국내 최대인 400,000kw의 제1수력 발전소, 12,000kw의 제2발전소를 비롯하여 여수로, 조정지댐, 연장 7㎞의 154kv, 송전선로 등이다. 본 사업은 1978.6.3. 진입로 공사를 착공하여 1985. 12. 31에 준공되었으며 이에 투입된 사업비는 내. 외자 총 5,550억원이 투자였다.

수력발전소

1985년 5월 15일 상업발전을 개시하였으며, 제1발전소와 제2발전소에서 연간 8억4천4백만㎾h의 전력을 생산하는 국내 최대의 수력발전소이다. 시설용량은 제1발전소 40만㎾(10만㎾×4대), 제2발전소 1만2천㎾(6천㎾×2대)로써 최근들어 급증하는 전력수요에 대처하고 있다. 발전되는 전력량은 벙커C유 약 96만 드럼분에 해당하며 연간 167억원의 유류수입 대체효과를 거두고 있다.

효과
  • 용수효과 : 충주다목적댐의 연간 용수공급량은 3,380백만㎥로서 그 중 2,731백만㎥가 생·공용수로 사용되며 서울, 인천, 수원 등 대도시와 평택까지 포함된 수도권 지역의 생·공용수 공급원으로서 절대적 역할을 다하고 있으며, 중원, 여주, 이천 등 한강유역에 315백만㎥의 관개용수와 334백만㎥의 하천유지 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
  • 홍수조절편익 : 한강 지역은 7∼9월 하절기의 집중강우로 인하여 매년 홍수가 반복되어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입어 왔으며 경제활동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충주다목적댐이 616백만㎥의 홍수를 저류하여 피해를 크게 경감하게 되었다.
  • 발전편익 : 충주수력은 시설용량이 412천㎾, 연간발전량이 844Gwh로서 약 1,300천BL/년의 유류대체효과를 가져와 외화절약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첨두발전의 담당으로 우리나라 전력공급에 크게 공헌하고 있다.
연혁
1966. 4 - 1971. 12 한강유역 조사
1968. 5 - 1971. 12 예비 타당성 조사
1975. 12 - 1977. 3 충주다목적댐 타당성 조사
1978. 6. 3 진입도로 및 건축 공사 착공
1979. 11. 22 하천법 제9조 및 동시행령 제8조에 의한 수몰지구 하천예정지고시
1979. 12. 18 충주댐 및 발전소 부대시설 공사(79/C/001) 계약체결
1980. 1. 22 산업기지개발촉진법 제8조 제2항의 규정에 의거 충주댐사업 실시계획고시
1981. 10. 7 가 배수로 유수전환
1982. 4. 2 본댐 콘크리트 타설 개시
1982. 8. 28 중주조정지댐 발전소 및 부대시설 공사(82/C/002) 계약체결
1984. 11. 1 담수 개시
1985. 5. 15 제1발전소 상업발전 개시(제4호 발전기)
1985. 7. 1 제2발전소 상업발전 개시(제2호 발전기)
1985. 10. 17 준공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