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

한국의 수자원

미래의 물 전망에 대한 예측

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 : Population Action International, 2003) 오늘날 5억 5천만명이 물 압박국가나 물 기근국가에 살고 있고 2025년까지 24억명에서 34억명의 사람들이 물 압박 또는 물 부족국가에 살게 될 것임
미국 NIC (National IntelligenceCouncil : 미 CIA 산하기구) 2015년에는 세계인구의 절반이 넘는 30억명 이상이 물 부족국으로 분류 되는 나라에 살게 될 것임
세계기상기구 (WMO) 2025년 6억 5천 3백만명 내지 9억 4백만명이, 2050년에는 24억 3천만명이 물 부족을 겪을 것임
앤더슨 국제식량기구연구소 소장 앞으로 25년 이내에 5개국 중 한 나라가 심각한 물 부족 사태에 직면할 것임
산드라 포스텔 (Sandra Postel) World Watch Institute 향후 30년에 걸쳐 지구상의 인구는 약 24억명이 더 늘어날 것임. 그런데 식량생산에 필요한 물의 40%만 강에서 가져온다 해도 농업용수가 매년 1천 750㎦씩 증가해야 하며, 이 양은 대략 20개의 나일강 또는 97개의 콜로라도강의 규모와 맞먹음
국제원자력연구소 (IAEA, 2002. 3) 현 추세로라면 2025년 약 27억명이 담수부족에 직면. 현재 약 11억명이 안전한 식수원에 접근하지 못하고, 25억명이 비위생적인 환경에 놓여 있으며, 500만명 이상이 수인성 질병으로 사망. 비위생적인 물로 인한 사망자는 전쟁으로 인한 사망자의 10배에 달함
UN 요하네스버그 정상회담 (2002) 2050년 세계인구는 90억명에 이를 전망. 11억명이 안전한 마실 물 부족에 직면할 것이며, 개발도상국 질병 원인의 10%는 안전한 식수 부족 또는 물 부족에 기인함
UN 세계 수자원개발 보고서 (2003. 3) 지구의 1인당 담수공급량은 앞으로 20년 안에 1/3으로 줄어들고 2050년까지 적게는 48개국 20억명 많게는 60개국 70억명이 물부족 겪을 것임. 2050년까지 인구는 93억명으로 늘고, 오염된 담수원 면적은 현재 관개용 수자원 면적의 9배에 달할 것
캐나다 회의(캐나다 시민단체)마우드 발로 (2004. 12) 산유국이 카르텔을 형성, 석유자원을 무기화 했듯이 머지 않아 물이 풍부한 국가들도 그렇게 할 것이라고 전망
세계경제포럼 수자원 이니셔티브 보고서(2009. 1) ‘수자원 부도(water bankruptcy)’가능성 경고. “이제는 1970년대 석유파동(oil shock)이 아니라 물파동(water shock)에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
2030 Water Resources Group Charting Our Water future(2009) 수자원시설 미확충시 2030년에는 물 수요의 60%만 충족가능을 경고

자료) 1. 물의 위기 (마크 드 빌리어스 저, 박희경·최동진 역, 2001)
2. Water for People Water for Life (The United Nations Water Development Report, 2003)
3. 美일간지 크리스천 사이언스 (2004. 12)
4. 수자원 이니셔티브 보고서 (세계경제포럼, 2009.1)

우리나라의 물 수급 전망

(단위 : 백만 ㎥/년)

구분 / 년도 2011년 2016년 2020년
용수수요량 35,498 35,800 35,568
- 생활 용수 8,103 8,180 8,195
- 공업 용수 3,178 3,562 3,422
- 농업 용수 15,849 15,690 15,583
- 유지 용수 8,368 8,368 8,368
용수공급량 35,158 35,300 35,129
과부족량 권역별 △340 △500 △439
지역별 △797 △975 △925

출처 : 수자원장기종합계획(국토해양부, 2006)

전국적으로 기준수요 시나리오에서는 2011년에 3.4억㎥의 물 부족이 전망되었으며, 2020년에는 4.4억㎥의 물 부족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

지역적인 수자원의 불균형 등의 원인으로 지역별 물 부족은 2006년 8.5억㎥에서 2016년 9.8억㎥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생공전용댐 및 하구둑과 같이 지역 간 물 이동이 가능한 시설물을 활용함으로써 약 5억㎥의 추가적인 물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

지역적 물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친환경 중소규모 댐 건설, 해수담수화, 농업용 저수지 재개발 등의 대책필요

우리나라의 물 수급 전망 그래프
(주) 1. 용수수요량은 수요관리 절감 계획을 고려한 값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