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지역 일대의 농경지는 수자원 부존량이 없어서 극히 일부분의 수리 안전답을 제외하고는 개별적 수원공의 개발이 불가능한 지형적인 여건으로 한발의 피해가 극심했다. 구릉 및 야산지 등의 개간과 해안에 발달된 조간지대의 간척지는 농경 지로서의 개발에 대단히 유리한 지형 여건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방치되어 있어서 종합적인 대단위 사업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담수호의 담수화 기간 초기에는 자체 유입량으로 부족한 수량을 공급하고, 비관개기에 삽교호를 통하여 공급받도록 대호방조제를 개발함으로서 삽교천 유역의 가용 수자원의 극대화에 기여하고 있다.
하천명 | 염솔천 |
---|---|
목적 | 관개용수 |
유역면적 | 279㎢ |
형식 | BM/ER |
건설기간 | 1981 ~ 1985 |
관리기관 | 농업기반공사 |
계획홍수위 | EL.0.4m |
---|---|
상시만수위 | EL.-0.5m |
총저수용량 | 122,900,000㎥ |
유효저수용량 | 46,460,000㎥ |
저수면적 | 21,75㎢ |
높이 | 14.69m |
---|---|
길이 | 7,807m |
체적 | 12,200,000㎥ |
연간용수공급량 | 61,770,000㎥ |
---|---|
농업용수 | 61,770,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