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하구둑은 전북 장수군 소백산맥 서사면에서 발원하여 충북 남서부를 거쳐 충남 및 전북의 도계를 따라 군산만으로 흘러드는 총 길이 40km의 금강 하구를 막아 건설하였따. 총 길이는 1,127m로 1990년에 완공되었으며, 연간 365백만㎥의 담수를 공급한다. 전북과 충남 일원에 농업용수와 공업용수를 공급하고, 금강 주변 지역의 홍수를 조절한다. 그리고 토양과 모래가 흘러내려 강하구에 쌓이는 것을 막아 군산항의 기능을 유지시키면서 바닷물의 역류를 막아 농경지의 염해 피해를 막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금강하구둑은 군산과 장항을 연결하는 교통도로도 이용되어 관광지로서 큰 몫을 하고 있으며, 하구둑 주변은 철새 도래지로 잘 알려져 있다.
하천명 | 금강 |
---|---|
목적 | 생공용수, 관개용수 |
유역면적 | 9,313㎢ |
형식 | BM |
건설기간 | 1983 ~ 1990 |
관리기관 | 농업기반공사 |
계획홍수위 | EL.4.6m |
---|---|
상시만수위 | EL.2.0m |
총저수용량 | 138,000,000㎥ |
유효저수용량 | 111,870,000㎥ |
저수면적 | 33.03㎢ |
높이 | 16.6m |
---|---|
길이 | 1,814m |
체적 | 1,380,000㎥ |
연간용수공급량 | 365,000,000㎥ |
---|---|
생공용수 | 121,000,000㎥ |
농업용수 | 244,000,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