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정보

한국의댐

군남댐

군남댐의 형식은 C.G.D 형식이며, 높이 26m, 길이 658m, 체적 178.90千㎥, 마루표고 EL45.00m이다. 유역면적은 4,191㎢이며, 위치는 좌안으로 경기도 연처군 군남면 선곡리이고 우안은 경기도 연천군 왕징면 강내리에 위치해 있다.
총 사업비는 3,787억원으로 공사 조기완공을 위해 인력, 장비가 추가 투입되면서 당초 계획보다 700억원 가량 늘어났다.

일반
하천명 임진강
위치 댐지점 좌안 경기도 연천군 군남면 선곡리
우안 경기도 연천군 왕징면 강내리
유역면적 4,191.00㎢
총사업비 3,787억원
연평균강우량 1,326.70㎜
본댐
형식 C.G.D
길이 658.00m
높이 26.00m
체적 178.90千㎥
마루표고 EL45.00m
저수지
계획홍수위 EL 40.00m
상시만수위 EL 31.00m
홍수기제한수위 EL 23.00m
저수위 EL 23.00m
총저수용량 71.60百萬㎥
유효저수용량 70.6百萬㎥
저수면적 3.04㎢
건설배경

군남댐은 경기 북부지역 임진강 유역 홍수 방지사업으로 건설되었다. 90년대 후반이후 최근까지 임진강유역에 있는 경기북부지역 문산, 파주, 연천, 포천 등 거의 해마다 크고 작은 홍수 피해에 시달리고 있었다. 특히 지난 96년, 98년, 99년의 3년간의 홍수피해는 100명이 넘는 사망자와 9,600억원에 달하는 재산피해를 가져왔다.
문제는 이러한 피해가 과거사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도 계속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임진강 수해피해를 항구적으로 예방하기 위하여 군남댐 건설을 하였다.

연혁
'99.12 ~ '02. 3 임진강수해방지대책수립(청와대 수해방지기획단)
'02.12 ~ '03. 6 예비타당성조사(기획예산처)
'03. 02. 27 군남홍수조절지 조기추진 결정(NSC 상임위)
'05. 09. 21 환경영향평가 협의 완료
'05. 11. 28 기본계획고시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372호)
'05. 12. 15 기본 및 실시설계
'06. 03. 17 댐건설예정지역 지정 고시(건설교통부고시 제2006-82호)
'06. 09. 15 실시계획 고시(서울지방국토관리청 제2006-207호)
'06. 12. 20 기본계획 변경 고시(건교부고시 제2006-539호)
'07. 08. 28 군남홍수조절지 현장사무소 분리 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