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대댐회

ICOLD 연차회의

2017년 ICOLD 제85차 체코 연차회의

목록
□ 행사개요
(행사명) 국제대댐회(ICOLD) 제85차 연차회의
(기간 및 장소) 2017. 7. 3(월) ~ 7(금), 체코 프라하
(참석자) 100개국 회원중 70여개국 대댐회 관계자 1,100여명 참석
※ 한국대표단(40명) : 국토부, K-water, 학계ㆍ업계 회원 등
□ 집행위원회
신규회원국가 승인(3)
- 앙골라 대댐회, 아프카니스탄 대댐회, 부탄 대댐회 부총재 선출(2)
- Europe Zone(Gerald Zenz, 오스트리아) / 6th post(Jean-Pierre Tournier, 캐나다)
신규분과위원회 승인(2)
- T.C. on Levees / T.C. on Resettlement due to Reservoirs
By-law 및 Constitution 내용 추가
□ 국제심포지엄
주제 : Knowledge based Dam Engineering (지식기반 댐공학)
한국대표단에서 총 8편의 발표 (구두 1편, 포스터 7편)
□ 기술분과위원회
댐 내진설계 분과 및 댐 안전 분과 등 총 8개 분과에 대표로 참석하여 국제 기술동향 분석
□ ICOLD-YEF(Young Engineers Forum) 회의
국가별 YEF 활동 보고, 신임 위원장 및 이사 선출, YEF 신설 국가 소개, YEF TOR 토의 등
□ Asia-Pacific Group of ICOLD(APG) 회의
의장국(의장 염경택 부총재)으로서 회의 주관 및 안건 의결
* 아시아-태평양 기술보고서(주제:홍수, 가뭄 및 댐의 역할) 발간 세리머니 진행
□ 국제협력네트워킹
한국대댐회-이란대댐회 MOU 체결
- 최근 경제발전과 더불어 풍부한 자원 및 인구를 바탕으로 차세대 핵심시장으로 부각되고 있는
이란 물 산업 진출기반 확보
- 댐 분야 새로운 시장성을 지닌 이란과의 전략적 파트너쉽을 통한 상호 기술 공유 및 협력기반 구축
한국대댐회-캐나다대댐회-미국대댐회 면담
- 각 국의 대댐회 소개 및 운영 현황과 활동분야를 공유하며, MOU 추진 등 협력체계 구축 및 구체화 노력

1 출장개요

□ (행사명) 국제대댐회(ICOLD) 제85차 연차회의
□ (기 간) 2017. 7. 3(월) ~ 7. 7(금)
□ (장 소) 체코 프라하 (Prague, Czech)
□ (참가자) 100개국 회원 중 70여개국 대댐회 관계자 약 1,100여명 참가
※ 한국대표단 : 18개 기관 40명 참가
국토부(2), K-water(8), KAIST(1), 성균관대(3), 충남대(1), 한국남동발전(3), 농어촌(1), 한수원(3), 시안공(3), 계룡(1), 대림(3), 대우(1), 와텍(1), 유신(1), 현대(2), SK(2), 대댐회 및 기타(4)
□ 주요일정
날 짜 주 요 일 정 비 고
7.2(일) ① ICOLD 이사회 1 시티투어
7.3(월) ① 기술분과 위원장 회의
② 기술분과위원회 Workshop
③ Young Engineers Forum(YEF) 회의
기술전시회오픈
시티투어
환영리셉션
7.4(화) ① 기술분과위원회 회의
② Regional club 회의(APG)
※ 한국대댐회-이란대댐회 MOU 체결
기술전시회
YEF Social
한국대댐회 만찬
7.5(수) 국제심포지엄
※ 미국·캐나다 대댐회 고위급 면담
기술전시회 폐막
문화체험
7.6(목) ① 기술견학
7.7(금) ① General Assembly (집행위원회)
② Technical Workshop
환송만찬

2 주요활동

YEF 회의 (7.3)

Keynote Lecture, 국가별 YEF 활동 보고, YEF 신설 국가 위원회 소개, YEF TOR 토의, 신임 위원장 및 이사 선출 등
□ Keynote Lecture
ㆍCurrent issues in dam engineering education in the Czech Republic
(Jaromir Riha, Brno University of Tehchnology)
□ 2016년 YEF 활동 보고 및 YEF 신설 국가위원회 소개
ㆍ60여명 Young Engineers 참석
ㆍYEF 신설국 : 루마니아, 알바니아
*총 18개국 YEF 신설, 활동 중
□ 그룹별 주제 토의 (6개 주제)
ㆍAdvance dam and reservoir monitoring, Limit values in dam safety, National YEF, Volunteering, Aspects of mathematical modeling, Engineering and research
□ 신임 위원장 및 이사 선출
ㆍ체코, 캐나다, 영국 (3개국)
□ ICOLD-YEF Steering Committee
ICOLD YEF Steering Committee
Priska Hiller(노르웨이), Chair / 2016-2019
Tim Ivanov(러시아) / 2015-2018
Motebele Moshodi(남아공) / 2015-2018
                               → 2017년 사임
Amanda Sutter(미국) / 2016-2019
Elias Bapitista(모잠비크) / 2016-2019
Jiri Hodak(체코) / 2015-2017
Samuel Tudor(영국) / 2016-2017
Priska Hiller(노르웨이), Chair / 2016-2019
Tim Ivanov(러시아) / 2015-2018
Milan Zukal(체코) / 2017-2018
                   → 잔여기간 재임
Amanda Sutter(미국) / 2016-2019
Elias Bapitista(모잠비크) / 2016-2019
Leila Ouahit(캐나다) / 2017-2020
Samuel Tudor(영국) / 2017-2020

기술분과위원회 (7.4)

기술분과회의 위원 참여 및 주제토론, 기타 관심 위원회 참관, 주제별 국내 현황 소개 등
□ 댐 내진설계 (Seismic Aspects of Dam Design) : 김동수 교수 (KAIST)
(위원장: Martin Wieland, 스위스)
ㆍ지진으로 인한 댐 구조물의 파괴 유형 분석 필요
ㆍ비선형 해석 리뷰
ㆍ댐지진 계측기록의 공유 제안 (National Performance of Dams Program)
ㆍ지진위험지도 작성 필요 - 단층분석 등 발생 가능한 최대 지진 분석
ㆍ댐 내진설계위원회 50주년 기념 Workshop 개최 (26차 총회, 오스트리아)
ㆍ(기타의견) 집중분야로 선정하여 국내 관련 Committee를 구성하고 지속적 협력 필요
□ 댐 안전 분과 (Dam Safety) : 신동훈 소장 (K-water연구원)
(위원장: P.A. Zielinski, 캐나다)
ㆍBulletin 최종안 검토 (댐 운영 라이프 사이클을 고려한 댐 안전관리)
*Dam safety management for all phases of dam life-cycle preceding operational phase
ㆍ댐 부괴 사례 수집 및 분석 현황 보고
ㆍ댐 운영 이전의 전주기에 걸친 댐안전 관리 지침에 대한 토의
ㆍ댐 붕괴에 따른 결과 및 잠재위험도의 평가 방법에 대한 토의
ㆍ댐 운영규정에 관한 프레임워크 개발 지침서 작성(안) 논의
□ 저수지 퇴사 (Sedementation of Reservoirs) : 정관수 교수 (충남대)
(위원장: Marty Teal, 미국)
ㆍ국내 저수지 퇴사 규정 공유 및 사례 소개
ㆍ다음 Bulletin “Sediment Bypass Systems”작성 승인
*3개 Chapter에 저자로 참여 예정
ㆍ(기타의견) 본 기술위원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엔지니어링사 추천 필요
□ 댐유역관리 (Dams and River Basin Management) : 김봉재 이사 (K-water)
(위원장: E. Cifres, 스페인)
ㆍ지속가능한 수자원 개발사업 평가를 위한 평가 인자 도출
ㆍIHA(국제수력협회)외 차별화된 맞춤형 사업 평가기법 개발
ㆍCase study를 토한 평가기법(안)의 적정성 검증
ㆍICOLD Guideline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평가기법(안)에 개선방안 검토

Asia-Pacific Group(APG) 회의 (7.4)

10개국 참석, APG 기술보고서 발간 기념식, KNCOLD ‘16년 주요활동 및 ’17년 계획 발표, 각 국의 활동 사항 공유, 의장 제안 안건 및 기타 안건 토의
□ APG `16년 특별 활동 보고
□ APG Technical Report*(기술보고서) 발간 기념식
*주제 :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의 홍수 및 가뭄 완화를 위한 댐 역할
□ 각 국가위원회 활동 사항 공유
ㆍ호주, 중국, 인도네시아, 이란, 인도, 일본, 한국, 뉴질랜드 (총 8개국)
□ 차기 APG Symposium 개최국 투표
ㆍ이란대댐회 유치 확정
□ ICOLD-APG 의장 이·취임식 (공로패 수여)

- APG Technical Report (기술보고서) -
ㆍ(목 적) 아시아-태평양 각 나라의 수자원 및 댐과 관련한 이슈, 정보 등을 교환 및 공유
ㆍ(주 제)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의 홍수·가뭄 완화를 위한 댐 역할
Floods, Droughts and Role of Dams for Theri Mitigation in Asia-Pacific Countries
ㆍ(목 차)
① 수자원
② 기후변화
③ 극심한 홍수와 가뭄의 통계자료
④ 침수 및 가뭄 완화에 대한 댐 및 저수지 역할
⑤ 기후변화에 의한 홍수와 가뭄 취약성에 대비한 미래 동향과 계획
ㆍ(참여국가) 총 12개국 참여 (한국, 일본, 중국,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이란,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네팔, 필리핀, 베트남)

국제심포지움 (7.5)

주 제 : Knowledge based Dam Engineering (지식기반 댐공학)
※ 한국 발표 : 총 8편 발표 (구두 1편, 포스터 8편)
□ 심포지엄 주제
ㆍInvestigation and application of advanced materials, technologies and solutions in dam engineering
(댐 공학에서의 첨단 소재, 기술 및 솔루션 조사 및 적용)
ㆍEnhancements in dam surveillance systems for dam safety and site security
(댐 안전 및 현장 보안을 위한 댐 감시 시스템 개선)
ㆍUncertainties and risk-informed decision making in dam design construction and operation
(댐 설계, 시공 및 운영에 대한 불확실성 및 위험도 기반의 의사 결정)
ㆍBalancing technical,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aspects of damengineering
(댐 공학의 기술적, 사회경제적 및 환경적 측면의 균형)
ㆍAdvancements in analysis and design within flood protection reservoirs, levees and tailing dams
(홍수 방어용 저수지, 제방 및 테일링 댐 내의 분석 및 설계의 발전)
ㆍRecent improvements and modern applications in reservoir and catchment management
(저수지 및 유역관리의 최근 개선사항 및 최신 응용)
ㆍDesign and operational considerations of global climate change, regional droughts and other extreme events (글로벌 기후변화, 지역 가뭄 및 기타 극한상황의 설게 및 운영 고려상황)
ㆍAssessment of aging dams considering remaining service life and decommissioning
(잔존 수명과 해체를 고려한 노후댐 평가)
ㆍHydro-electro-mechanical equipment of dams
(댐 수력 전기기계 장비)
□ 한국대표단 발표 현황
ㆍ총 8편의 발표 (구두 1편, 포스터 7편)
*구 두 : 유신 1
*포스터 : K-water 3, 성균관대 1, 농어촌공사 1, 시안공 2

기술견학 (7.6)

기술견학 5개 개설 코스 중 한국대표단은 총 3개 코스 참여
※(TT1)Slapy Dam / (TT3)Pařížov Dam, Vrchlice Dam / (TT4) Mšeno Dam, Josefův Důl Dam
□ Slapy Dam (TT1)
ㆍType : Concrete Gravity Dam
ㆍ높이 : 67.5m
ㆍ준공 : 1955년
ㆍ목적 : 홍수 조절
ㆍ투어 코스 : Konopiště chateau → Slapy Dam → boat trip(Vltava river)
ㆍKonopiště chateau : 사냥기구와 무기가 전시 되어있는 프랑스 요새 방식으로 건설된 바로크 스타일이다.
ㆍSlapy Dam:67.5m 높이의 콘크리트 중력식 댐으로 144MW 용량의 수력발전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Vitava댐(cascade 방식) 중에 하나이며, 1955년에 준공되었으나 며칠 만에 홍수로 인해 피해를 입은바 있다.
ㆍboat trip(Vltava river) : Vltava강과 갑문을 통해 다른 댐을 관측할 수 있는 선박 투어
□ Pařížov Dam (TT3)
ㆍType : 석조댐(Masonry Dam)
ㆍ높이 : 31m
ㆍ준공 : 1913년
ㆍ목적 : 전력 생산
・투어 코스 : Pařížov Dam → Kutná Hora Town → Vrchlice Dam
ㆍPařížov Dam : 31m 높이의 석조댐 형식, 2013년에 운영 100주년
ㆍKutná Hora Town : 1995년 유네스코 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되었으며, 원조 고딕양식의 건축물.
ㆍVrchlice Dam : 1966~1970에 건설, 40.8m 높이의 single-curvature 아치댐 형식.
□ Mšeno Dam (TT4)
ㆍType : 석조댐(Masonry Dam)
ㆍ높이 : 15.8m
ㆍ준공 : 1908년
ㆍ댐길이 : 425.5m
ㆍ여수로 : 댐체 상부에 4개의 자연월류형 여수로(non-gated spillway)
ㆍ방류설비 : 댐체 하부에 2개의 방류용 갤러리가 설치되어 있으며, 우안측 방류관에는 소수력 발전설비가 설치되어 있음.
ㆍ기초차수 : 1999~2000년에 댐체 하부에 댐축으로부터 약간 하류측에 263m길이의 기초지반 차수공사용 갤러리를 설치하고 Chemical Grouting공법으로 차수를 도모함.
ㆍ투어 코스:Mšeno Dam → Josefův Důl Dam → Sychrov château
ㆍSychrov château : 체코에서 프랑스의 꽃으로 일컬어지는 유명한 네오고딕양식 건축물
□ Josefův Důl Dam (TT4)
ㆍType : AFRD Dam
ㆍ준공 : 1976~1982년
ㆍ높이 : 44m(본댐), 15m(보조댐)
ㆍ댐길이 : 360m(본댐), 360m(보조댐)
ㆍ여수로 : 모닝글로리형
ㆍ아스팔트 차수벽 : T=18cm, 구배=1:2.0
ㆍ기초차수 : 기반암 까지 철근콘크리트 cutoff wall(D=20m) 및 그라우트 커튼(기반암 하부15m)
ㆍ발 전 : 프란시스형 소수력 발전 1EA(147kW)
ㆍ계 측 : 기초갤러리 내에 콘크리트 cutoff wall의 상하류 양측에 대칭으로 간극수압계를 설치 운영중. 댐체 하류사면에 다수의 간극수압계와 변위측점 등 설치 운영중. 댐마루 하류 어깨부 및 상류 아스팔트 차수벽 표면에 침하측점 설치 운영 중. 침투수량은 허용치 이내로 관측되고 있어 댐은 안전한 것으로 판정하고 있음.
ㆍ특징: 본댐과 보조댐으로 구성됨. 두 댐 모두 AFRD형식이지만 본댐에만 그라우팅 및 침투수 관측용 갤러리(L=419m)가 있음. 댐체 내부 하류측에 L자형 배수죤 설치

□ 동 향
ㆍ체코의 댐 역시 노후화가 진행되는 댐들의 증가로 안전관리 및 성능개선 기술의 적용이 추진 중
ㆍSlapy(슬라피) 댐
- Slapy댐은 프라하에서 40㎞ 상류인 Vltava강에 위치한 높이 70m, 길이 260m, 저수용량 269.3백만㎥의 콘크리트 중력식댐으로 수력발전(48㎿×3대)을 위하여 1952~1955년에 건설된 댐.
- 중앙부에 폭 15m의 Radial Gate 형식의 수문 4기를 통해 최대 3,000㎥/s의 방류능력을 갖추고 있음.
- Vltava Cascade 방식 댐의 3번째 댐이며 운하를 통해 관광자원으로 활용되고 있음.
Slapy Dam 전경
Slapy Dam 발전소 단면도

ㆍPařížov(페리조브) 댐
- 1913년 준공된 아취형 중력식 석조댐(Gravity Masonry dam)형식의 댐으로 높이 31m, 길이 142m, 저수용량 1.683백만㎥의 소규모댐
- 주된 설치 목적은 홍수조절이며 부수적으로 수력발전을 통해 발전의 효과를 도모하고 있음.
- 여수로는 댐 정상부 자유월류식(crest spillway) 5개소와 측면부 여수로(side spillway) 가 있으며 총 방류능력은 130.9㎥/s 임. (댐정상부 32.1㎥/s, 측면부 98.8㎥/s)
- 측면부 여수로는 연장이 97.4m로써 계단식으로 도류부를 설계하여 에너지를 상쇄함
- 그 외에 2개의 Bypass Tunnel 과 2개의 Outlet 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75㎾ 발전기 2대를 가동하고 있었음.
Pařížov Dam Crest Pařížov Dam 하류
Pařížov Dam 전경 및 측면부여수로 Pařížov Dam 발전소 단면도

ㆍVrchlice(브르츠라이스) 댐
- 1970년에 준공된 체코 유일의 콘크리트 아취형댐으로 높이 40.8m, 길이 167.8m, 저수용량 9.786백만㎥의 소규모댐.
- 주된 설치 목적은 생활용수 공급이며 부수적으로 수력발전을 통해 발전의 효과를 도모하고 있음.
- 여수로는 댐 정상부 중앙부에 폭 6m의 무문식 자유월류식(crest spillway) 5개소가 있으며 총 방류능력은 110㎥/s 임.
- 그 외에 2개의 Outlet 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18㎾ 발전기와 7.5㎾ 발전기 2대를 가동하고 있었음.
- 선택취수가 가능한 취수설비를 갖추고 있음.
Vrchlice Dam Crest 견학자 설명 청취
Vrchlice Dam 전경 Vrchlice Dam 취수설비, 발전소

ㆍMsěno(므셰노) 댐
- 준공 후 108년이 경과한 석조댐(Masonry dam)이지만 약 100년이 경과한 시점(1999~2000년)에 기초암반의 누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댐체의 하부 지반에 갤러리를 신설하여 기초그라우팅을 함으로써 기초누수문제를 해결함여 댐의 안전을 확보한 것은 노후도가 심각한 댐일지라도 적절한 유지관리와 보수를 할 경우 충분히 오랜 기간 동안 댐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의미로 분석됨.
- 댐 상류 우안 측에 홍수량 분배용 터널 신설 등을 통해 홍수 문제를 해결하는 등의 전략도 매우 인상적이었음.
- 또한 도심지에 있는 댐으로서 인근 지역에 거주하는 시민들이 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레크레이션 기능을 갖고 있는 것 역시 인상적이었음.
Msěno Dam Crest Msěno Dam 하류
그라우팅용 갤러리 설치 단면도 Msěno Dam 기초암반 차수그라우팅 공사 개요 (1999~2000)

ㆍJosefův Důl(요세푸프 둘) 댐
- 균질형 흙댐에 아스팔트 표면 차수벽을 설치한 댐이며, 약20m 두께의 충적층 기초지반의 차수를 위해 콘크리트 cutoff wall 및 그 하부의 차수그라우팅을 통해 기초지반 차수를 도모함.
- Cutoff wall의 차수성능은 Cutoff wall의 직상하류에 설치한 간극수압계 측정결과를 통해 확인하고 있으며, 준공 후 35년이 현재까지 정상적인 차수기능을 발휘하고 있음. 특히 기초갤러리 구조물은 부등침하나 변형의 징후가 없는데 이는 콘크리트 cutoff wall이 기반암층까지 시공되어 튼튼하게 지지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됨.
- 상류 차수벽은 변형이 다소 심하게 발생되어 있고, 댐체 하류사면에 간극수압계가 다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때 차수벽에 부분적으로 누수가 발생되고 있기 때문으로 추정되며, 이는 차수벽의 두께가 18cm에 불과하고 성능이 다소 불량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고, 우리 공사가 향후 AFRD를 도입할 경우에는 이러한 점을 참고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됨.
- 댐건설에 참여했던 기술자가 현재까지 근무하면서 댐의 유지 및 안전관리를 하고 있는 점은 인상적이었음.
댐 단면도
(기초지반 및 cutoff wall 포함)
댐 단면도
(Asphalt facing의 두께=18cm)
하류 사면 및 계측기(간극수압계 및
표면침하점) 설치현황
기초갤러리 및 cutoff wall
상하류측 간극수압계 설치현황

□ 동 향
ㆍ차세대 혁신 댐 기술에 대한 벤치마킹 및 타당성 확보 시 도입 필요
ㆍ35년 또는 108년 경과한 노후댐이라도 적절하게 유지관리 및 보수할 경우 충분히 본연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
ㆍ노후댐의 유지관리, 안전관리, 기후변화에 따른 적응기술 등에 관한 유럽지역의 Know-how 적극 검토 필요
ㆍ노후댐 안전관리 및 성능개선 기술에 대한 국제적 수준의 혁신 연구개발 비중 확대 필요

제85차 집행위원회 (7.7)

신규회원국 승인, ICOLD 부총재 선출, ‘18~’19년 연차회의 준비사항 보고, ’21년 연차회의 개최지 선정 등
※ 한국대댐회 참석자 : 김봉재 기획부회장, 김동수 국제협력부회장
□ 신규회원국가 승인
ㆍ앙골라 대댐회 (Angolan Committee on Large Dams)
ㆍ아프카니스탄 대댐회 (Afghanistan National Committee on Large Dams)
ㆍ부탄 대댐회 (Bhutan Committee on Large Dams)
□ 부총재 선출 (2017~2020)
ㆍEurope Zone (유럽존 부총재)
성명 국적 추천 주요활동
Gerald Zenz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대댐회 ㆍ오스트리아 대댐회 회장
ㆍCivil Engineer
ㆍICOLD 다수 참가 (2001~)
ㆍthe 6th post (6차석 부총재)
성명 국적 추천 주요활동
Jean-Pierre Tournier 캐나다 캐나다 대댐회 ㆍExpert Consultant to Engineering Manager
ㆍICOLD 다수 참가 (1985~)
□ 연차회의 관련 안건
ㆍ`18년 제86차 연차회의 및 26차 총회(오스트리아 빈): 준비사항 보고
ㆍ`19년 제87차 연차회의(캐나다) : 준비사항 보고
ㆍ`20년 제88차 연차회의(인도 뉴델리)
ㆍ`21년 제89차 연차회의 및 27차 총회 개최지 선정 : 프랑스 마르세유
ㆍ`22년 제90차 연차회의 개최지 후보 : 이란 시라즈
□ 국가위원회 기타 상정안건 의결
ㆍICOLD 홈페이지에 Bulletin을 게시할 시, 주요 콘텐츠를 포함한 P.P.T. 게재 / 프랑스 대댐회 제안
ㆍICOLD 홈페이지에 Bulletin 게시할 시, 대표언어를 한가지로 설정(영어 또는 불어) / 이탈리아·스페인 대댐회 제안
ㆍICOLD Congress(총회) 4개의 주제를 본 총회 개최 전에 진행되는 Annual Meeting Symposium 주제에 불포함 / 이탈리아·스페인 대댐회 제안
□ 신규분과위원회 승인
ㆍTechnical Committee on Levees (2017~2020)
- 의장 : Remy Tourment, 프랑스 / 부의장 : Elena Sossenkina, 미국
ㆍTechnical Committee on Resettlement due to Reservoirs (2017~2020)
- 의장 : Wang Xijiong, 중국 / 부의장 : 차후결정
□ By-law 및 Constitution 내용 추가
ㆍ회원국의 가입, 자격, 권리, 연회비 등을 규정하는 내용 추가
- By-law : Part Ⅶ - Section V, W, X / Constitution : Section Ⅲ
□ 사무국장 재지명
ㆍMichel De Vivo (2018~2020) / 총재 A. Schleiss 제안
□ 기술분과위원회 Technical Report 제출
ㆍTechnical Advancements in Spillway Design - Progress and Innovations from 1985 to 2015 / (C) 기술분과 Hydraulics for Dams
ㆍIntegrated Operation of Hydropower Stations and Reservoirs / (K) 기술분과 - Integrated Operation of Hydropower Stations and Reservoirs
ㆍAction Plan on Capacity Building / (Z)(ad hoc) 기술분과 - Capacity Building and Dams

3 종합의견 및 향후계획

□ 국제적 측면
ㆍ국제대댐회 내 한국을 포함한 Asia Zone 위상이 높아지고 있음 *한ㆍ중ㆍ일 3개국 중심의 교류를 확대하여 댐 건설 타겟 국가들에 대한 지속적인 교류 및 관계 유지 필요 *국제대댐회 내의 정책/기술적 제안을 위한 선도그룹 활동 추진 검토 *한국대댐회의 역할 및 세부 활동 계획 면밀 검토
ㆍAsia Zone 국가들은 아프리카 대륙 시장 진출을 목적으로 저변확대를 위한 세미나 및 기술교육 등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댐 개발뿐 아니라 기존 댐의 재개발 및 안정화 사업에 중점을 두고 있음 *국내에서도 아프리카 대륙 시장 진출을 위한 활동 필요
ㆍ개발도상국의 댐사업은 새로운 기회의 장으로서 미보유 기술들에 대한 국제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연구개발 지속 필요
ㆍ국제적으로 4차 산업 및 기술고도화와 관련하여 댐 안전을 위해 위성영상(SAR)을 활용한 장기적 변이 추이 분석 등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어 이를 위한 투자 및 기술개발 필요
ㆍ선진국의 경우 “노후댐 성능개선, 위험도 평가, 소형댐, 제방”에 대해 시장 확대를 예상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경쟁력 있는 기술 확보를 위한 지속가능한 R&D 필요
ㆍ차세대 혁신 댐 기술에 대한 벤치마킹 및 타당성 확보 시도입 필요, 특히 노후댐 안전관리 및 성능개선 기술에 대한 국제적 수준의 혁신 연구개발 비중 확대 필요
□ KNCOLD-JEF의 국제무대 참여 기회 확대 방안 모색 필요
ㆍ회원사별 젊은 엔지니어 참여 확대 필요
ㆍICOLD-YEF와의 교류, 심포지엄 기술 발표, 기술 분과 참여 등
ㆍ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적극적 참여 비중 확대 및 전문가 양성 필요
□ 단순 참가에서 적극적인 활동으로 역할 확대 강화
ㆍ일관성 있는 전략적 참석 지속 및 적극적 의견 개진 필요
ㆍ국제적 역량 강화 연구개발 확대 노력 필요
ㆍ기술위원회 위원(장) 활동 및 보고서(Bulletins) 적극 참여 *집중분야를 선택하여 국내에 관련 기술분과위원회를 구성하고 지속적 협력 필요, 특히 ‘댐 내진설계’ 분야는 적극적인 해외 기술 교류 필요
ㆍ심포지엄 논문 제출 및 총회 페이퍼 제출, 구두발표 참여
□ ICOLD 발간물(Bulletin, Newsletter 등) 활용 방안 마련
ㆍ국제 댐기술 표준 가이드라인 ICOLD Bulletin에 대한 연구와 공유, 참여 필요
ㆍKNCOLD-JEF, 기술위원회 등을 활용하여 국제 댐 동향 분석 및 국내 보급 추진
□ 제86차 국제대댐회 연차회의 및 제26차 총회(오스트리아 빈) 참가 준비
ㆍ초록제출 준비 및 회원 참가 독려 등 사전 준비 철저 ※ 심포지엄 주제 분석을 통한 K-water 및 회원사의 국내 신기술, 연구개발 사업 등의 주제 발표 전략 수립
ㆍ기술분과위원회(Technical Committee) 활동 가능 위원으로 재정비

4 활동사진

▲ 참가자 등록 데스크 (7/3)
▲ ICOLD-YEF회의 (7/3)
▲ 환영리셉션 (7/3)
▲ (B)댐내진설계 기술분과위원회 회의 (7/4) ▲ (H)댐안전 기술분과위원회 회의 (7/4)
▲ (J)저수지퇴사 기술분과위원회 회의 (7/4) ▲ (S)홍수평가와 댐안전 기술분과위원회 회의 (7/4)
▲ (U)댐유역관리 기술분과위원회 회의 (7/4) ▲ (Y)기후변화 기술분과위원회 회의 (7/4)
▲ Asia-Pacific Group of ICOLD(APG) (7/4)
▲ Asia-Pacific Group of ICOLD(APG) (7/4)
▲ 한국대댐회 - 이란대댐회 MOU 체결 (7/4)
▲ 국제심포지엄 개회식 (7/5)
▲ 한국대댐회 - 캐나다대댐회 - 미국대댐회 면담 (7/5)
▲ 국제심포지엄 - 포스터 발표 (7/5)
▲ 국제심포지엄 발표 (7/5) - 고익환 부사장 (유신)
▲ 문화행사 (7/5)
▲ 기술투어(TT1) (7/6)
▲ 기술투어(TT3) (7/6)
▲ 기술투어(TT4) (7/6)
▲ (Eruopean Club) WG meeting on Levees & Flood Defences (7/7) - 신동훈 소장(K-water) 발표
▲ 제85차 ICOLD 집행위원회(General Assembly) (7/7)
▲ 제85차 ICOLD 집행위원회(General Assembly) (7/7)
▲ 제85차 ICOLD 집행위원회(General Assembly) (7/7)
▲ 환송만찬 (7/7)
▲ 기술전시회
▲ 한국대표단 단체사진
참고1 한국대표단 명단
소속기관 참가자
K-water 8 김봉재 이사, 박원철 본부장, 류종현 부장, 김승범 차장, 차영준 대 리,
신동훈 소장, 조성배 박사, 박진혁 박 사
국토부 2 손수진 사무관, 이종원 주무관
한국과학기술원 1 김동수 교수
성균관대학교 3 염경택 교수, 전경수 교수, 김민지 학생
충남대학교 1 정관수 교수
한국남동발전 3 김학현 전무, 윤주호 차장, 윤안상 차장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1 최병한 박사
한국수력원자력 3 권창섭 팀장, 차덕권 차장, 박재석 차장
한국시설안전공단 3 이종근 부장, 최홍석 차장, 박지연 연구원
계룡건설 1 권호남 상무
대림산업 3 이영대 상무, 최동남 소장, 이동현 차장
대우건설 1 채석준 팀장
와 텍 1 이규환 사장
㈜유 신 1 고익환 부사장
현대건설 2 최 훈 부장, 이양재 과장
SK건설 2 김종해 사장, 장고일 부장
- 2 김영환 건설부 前 국장, 허인숙 님
한국대댐회 2 안희복 사무국장, 이다정 대리
40
참고2 수집자료
Japanese Dam Technologies
Contribution to the World
Hydropower & Dams
Special Issue : 85th Annual Meeting of ICOLD
Current Activities Dam Construction in China Report on Water Management
in the Czech Republic in 2015
ICOLD Newsletter Safety supervision of water structures in the Czech Republic
Dams in the Czech Republic
책자 & USB
앵커링 SRG 브로셔
GEO SENSE 브로셔 & USB
(Dam Safety Monitoring)
Willowstic 브로셔
SADAFZAR 브로셔 & CD
(Geotechnical Monitoring & Analysis)
MAHAB GHODSS 브로셔 & CD
(Consulting Engineering Company)
carpi 브로셔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NAUE 브로셔
(Gosynthetics Manufacturer)
STM 브로셔
(Conveying Systerms)
CONNAECT 잡지 (Edition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