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사명) 국제대댐회(ICOLD) 제86차 연차회의 및 26차 총회
□ (기간 및 장소) 2018. 7. 1(일) ~ 6(금), 오스트리아 비엔나
□ (참석자) 100개국 회원중 81개국 대댐회 관계자 1,600여명 참석
※ 한국대표단(48명) : 환경부, K-water, 학계·업계 회원 등
[2] 집행위원회
□ 총재선출(1) : Mighael Rogers(미국)
□ 부총재 선출(2)
- Africa Zone(Michael Abebe, 에티오피아) / 6th Post(Ali Noorzard, 이란)
□ 기존 기술분과위원회 운영 연장 승인 (9개)
□ 기술위원회 기술보고서(Bulletin) 발간 승인 (6건)
[3] 국제심포지엄
□ (주 제) Hydro Engineering
□ 한국대댐회는 총 12편의 발표 (구두 7편, 포스터 5편)
[4] 제26차 총회
□ (주 제) 저수지 퇴사와 지속가능개발, 댐 안전 및 위험도 해석 등 4개 주제에 대한 각국의 기술·경험 발표 및 토론
□ 한국대댐회는 총 2편의 발표 (포스터 2편)
[5] 기술분과위원회
□ 댐 내진설계 분과 및 댐 안전 분과 등 총 8개 분과에 대표로 참석하여 국제 기술동향 분석
(28개 기술분과위원회 중 한국대댐회는 22개 분과 참여 中)
[6] Asia-Pacific Group of ICOLD(APG) 회의
□ 회원국 활동사항, 주요행사개최 보고 및 회장 제안사항 논의
* (회장 제안사항) 댐 안전관리 활동 등 조사 제안사항에 대한 추진방법, 범위 등 토론
[7] 국제협력네트워킹
□ 한국대댐회-미국대댐회 MOU 체결
- 기술자료 및 전문가 교류, 기술시찰 및 정보 교류, 교육 협력, 워크숍, 세미나, 회의 등 참석 등 포괄적 내용
- 2017 미국 Oroville 댐 사고로 촉발된 댐 노후화 및 안전 분야 기술, 정책 등 강화에 대한 실무적인 기술 습득 등 기대
□ 한국대댐회-캐나다대댐회 MOU 체결
- 교육훈련 프로그램, 공동 심포지엄, 기술 컨설팅, 공동 연구 프로젝트 분야에서 상호 이익을 목적으로 협력
- 댐주변 공공안전을 위한 CDA 가이드 라인 제공 및 교육 워크숍 참여 협력
1 출장개요
□ (행사명) 국제대댐회(ICOLD) 제86차 연차회의 및 26차 총회□ (기 간) 2018. 7. 1(일) ~ 7(금)
□ (장 소) Austria Center Vienna, 오스트리아 비엔나
□ (참가자) 100개국 회원 중 81개국 대댐회 관계자 약 1,600여명 참가
※ 한국대표단 : 20개 기관 48명 참가
환경부(2), K-water(8), KAIST(1), 부경대(4), 성균관대(2), 인하대(2), 교통대(1), 한국남동발전(3), 농어촌(2), 한수원(4), 시안공(3), 계룡(2), 금호(1), 대림(3), 대우(2), 와텍(1), 한화(1), 현대(2), SK(2), 대댐회(2)
□ 주요일정
날 짜 | 주 요 일 정 | 비 고 |
---|---|---|
7.1(일) |
① 기술분과위원회 회의
② Regional club 회의 (APG) |
시티투어 |
7.2(월) | ① 국제심포지엄 (Hydro Engineering) ② 기술분과위원회 Workshop ※ 한국대댐회-미국대댐회 MOU 체결 |
기술전시회 Opening Cocktail 한국대댐회 만찬 |
7.3(화) | ① General Assembly (집행위원회) |
기술전시회 기술견학 환영리셉션 |
7.4(수) | ① Congress (총회) - Q100, Q101 ② Young Engineers Forum(YEF) 회의 ※ 한국대댐회-캐나다대댐회 MOU 체결 |
기술전시회 Satellite Symposia |
7.5(목) | ① Congress (총회) - Q100 ~ Q103 |
기술전시회 문화체험 |
7.6(금) | ① Congress (총회) - Q102, Q103 |
환송만찬 |
2 주요활동
기술분과위원회 (7.1)
기술분과회의 위원 참여 및 주제토론, 기타 관심 위원회 참관, 주제별 국내 현황 소개 등
□ 댐 내진설계 (Seismic Aspects of Dam Design) : 김동수 교수 (KAIST), 박동순 박사 (K-water 연구원)○ 댐 내진설계 분과의 50년 역사
○ 안전한 댐 거동을 위한 수치해석 방법 적용
○ 수치해석을 중심으로 한 사력댐의 내진설계
○ 최근 지진 시 농업용 흙댐의 붕괴와 재건
○ 일본에서 아치댐, 락필댐, 중력식댐의 지진 시 관측된 거동과 해석 거동의 비교
○ 이탈리아에서 현재 댐 내진해석의 어려운 점
○ 일본대댐회-프랑스대댐회 기술교류협력의 결과 - 댐 및 부속설비의 지진 동해석 정량화
○ 2017년 M6.6 Lake Grassmere 지진과 2016년 M7.8 Kaikoura 지진 시 흙댐의 성능 관측
○ 최근 콘크리트댐 내진해석 워크숍에서의 교훈
○ 경암 지반의 지진 위험도 분석
□ 댐유역관리 (Dams and River Basin Management) : 김봉재 이사 (K-water)
○ 지속가능한 수자원개발사업 평가 전차 회의 결과 보고
○ 기술위원회 발간 예정 Bulletin 목차 등 구성 협의
□ 댐 안전 (Dam Safety) : 신동훈 소장 (K-water 연구원)
○ 기술위원회 주요활동 내용 공유 체계 운영 : ICOLD 홈페이지 접속 가능
○ 댐사고(Dam incident) e-data base 업데이트 및 Bulletin 발간 추진 현황
- 기존 Bulletin 99(1991년 발간)의 업데이트(40건 검토 중) 및 2019년 캐나다 오타와 ICOLD 연차회의 때 보고서 발간 승인 목표
- 붕괴 또는 파괴(failure)와 사고(incident)의 정의 재확인
댐의 붕괴 또는 파괴(failure) : 갑작스럽고 제어 불가능한 저수의 방출 또는 건전성의 완전한 상실로 특징되는 재앙적 사고 유형 (A failure is a catastrophic type of incident characterized by the sudden and uncontrolled release of impounded
water or by a total loss of integrity)
댐의 사고(incident) : 위의 붕괴 또는 파괴의 정의에 따른 저수의 방출 또는 건전성의 완전한 상실로 규정되지 않는 손상, 기능손실 또는 건전성의 상실
- Shane McGrath(호주대댐회, Working Group 리더), 2019년 ICOLD 연차회의 때 초안제출 예정
○ 댐 안전에 관한 표준 가이드라인 + 관리규정 프레임워크 구축에 관한 Bulletin 작성 추진 현황
- 2018년 6월 현재 Draft 완료되었으나 저작권 문제 및 개발도상국에의 적용성 한계 등의 문제 등으로 인해 추후 의견수렴 후 발간 추진 예정
○ 각국의 댐 안전관리를 위한 법률, 규정 및 제도적 프레임워크에 관한 비교 연구 추진현황
- World Bank의 댐 안전 규정 비교연구 보고서(2002)의 업데이트
- 현행 각국의 댐 안전에 관한 법률, 규정 및 제도 프레임워크의 비교분석을 통해 미래형 모델 제시 예정
□ 저수지 퇴사 (Semimentation of Reservoirs) : 장창래 교수 (교통대)
○ Bulletin 발간을 위한 그동안의 연구내용 발표 및 보고서 작성내용 검토
(Bulletin은 2019년 제87차 연차회의(캐나다 오타와)시 완성 예정)
○ Sediment Connectivity 부문에 정관수 교수(충남대) 집필진 참여
○ 미국 저수지 퇴사관련 발표자료 및 CIRES and the Western Water Assessment sponsor a webinar series on Reservoir Sedimentation and Sustainability 자료

Asia-Pacific Group(APG) 회의 (7.1)
11개국 참석, 각 국의 활동 사항 공유, 주요행사개최 보고, 의장 제안 안건 및 기타 안건 토의
□ 각 국가위원회 활동 사항 공유 (Country Report)○ 각 회원국 대댐회의 주요활동 및 댐 관련 주요 이슈 공유
* 한국대댐회 : 주요행사, K-water 및 한국농어촌공사의 댐안정성 강화 사업 추진현황 및 기술이슈 발표
(김동수 교수, 한국대댐회 국제협력부회장)
□ 동아시아 댐기술 교류회의(EADC) 개최 계획 보고 (중국대댐회)
○ 일 자 : 2018. 10 . 12(금) ~ 19(금)
○ 장 소 : 중국 정저우
○ 주 제 : 수리구조물 사업에 있어 지능형 시공 및 관리,수중 탐사 및 보강,양수발전소 건설 및 운영, 기타
* 현재 논문 접수 중 (7월 말 마감, 한국대댐회 홈페이지 공지사항 참조)
□ APG Symposium 개최 계획 보고 (이란대댐회)
○ 일 자 : 2019. 10.
○ 장 소 : 이란 시라즈
□ (APG 위원장 제안) APG 회원국의 댐 안전관리 제도 및 기술현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한 분석보고서 작성
특별세션 : 오로빌댐 여수로 사고 (7.2)
미국대댐회에서 오로빌댐 여수로 사고의 전반적인 상황, 사고조사, 대응, 보강공사,
사회적 영향 등에 관한 특별세션 발표
□ 발표 주제 ○ 경고 시스템 및 이에 대한 반응 (Jason Needham)
○ 상황 전개, 사고 반응 및 공공 안전 (David Gutierrez)
○ 중요한 댐 안전 확보를 위한 fast-track 복구 설계와 시공 (Bill Croyle)
○ 복구공사 구조설계에 있어 롤러다짐콘크리트 공정 (Michael Rogers)
○ 복구공사 설계를 위한 지질공학적 지반공학적 조사 (Michael Gray)
○ 댐 운영과 설계를 위한 수리수문학적 엔지니어링 (Mark Fortner)
○ 여수로 사고조사(forensic investigation) 결과 (John France)
□ 향후 댐 사고 관련 안전관리 및 재난 대응체계와 제도 개선 시, 선진 체계의 적극 모니터링 및 벤치마킹 필요
국제심포지엄 (7.2 ~ 3)
주 제: Hydro Engineering
※ 한국 발표 : 총 12편 발표 (구두 7편, 포스터 5편)
□ 심포지엄 주제 (Hydro Engineering) ○ Climate Changes Reservoir Operation (기후변화 및 저수지운영)
○ Permission and Safety Assessment (허가 및 안전평가)
○ Dam and Foundation Sealing (댐 및 기초차수)
○ Caverns and Power Water Ways (지하공간과 전력용 수로)
○ Stability of Reservoir slopes (저수지 사면의 안정성)
□ 한국대표단 발표 현황
○ 총 12편의 발표 (구두 7편, 포스터 5편)
* 구 두 : K-water 3, 시안공 1, 교통대 1, 부경대 1, 성균관대 1
* 포스터 : 농어촌 2, 시안공 1, 한수원 1, 인하대 1
□ Dam and Foundation Sealing (댐 및 기초차수) 분야 주요 발표 논문
○ 필댐 코어층 차수 보강 그라우팅
- 10년간 사례 (박동순 박사, K-water)
- 기존 필댐 기초부 보강 그라우팅의 교훈
- 지난 40년간 댐 및 제방 컷오프 보강 공사의 교훈
- 폴란드에서 홍수 저류용 필댐의 침투류 해석
- Gura Apelor 점토 코어형 락필댐에서의 복잡한 지질조건 하 커튼 그라우팅 성능
- 필댐의 깊은 자갈질 기초에서 차수대책의 모니터링과 평가
- Tasmania의 콘크리트댐과 양압력의 영향 평가
- Wudongde 및 Baihetan 300m 높이 아치댐에서 새로운 재료의 적용 연구
- 저발열 시멘트 콘크리트
- Center Hill 필댐의 보강공사
- 콘크리트 컷오프 월과 기존 콘크리트댐의 연결
총회 (7.4)
Q100~103 주제에 대한 회원국 전문가들의 기술·학술적 연구 내용 공유
※ 한국 발표 : 총 2편 발표 (포스터 2편: K-water 1, KAIST 1)
No. | Congress Theme |
---|---|
Question 100 | Reservoir Sediment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저수지 퇴사와 지속가능 개발) |
① 퇴적물 방출 구조, 저수지 운전 및 준설, 퇴적물 제거 및 잔해 제거를 포함한 퇴적 관리 기술을 포함한 저장 설계의 Best Practices. ② 하천 권역 및 형태 복원을 위한 댐 하류의 퇴적물 보충 기술. ③ 바닥 출구 및 침전물 바이패스 터널의 탁도 전류 방전에 대한 경험. ④ 기후 변화가 저수지 퇴적물 및 지속 가능한 저장 시설 이용에 미치는 영향. |
|
Question 101 | Safety and Risk Analysis (안전 및 위험도 해석) |
① 지진 위험. - 과거 지진의 교훈. - 댐에 대한 관련 디자인 개선의 비용 효율성. ② 기후 변화를 포함한 필댐의 홍수로 인한 Risk - 사고에 관한 데이터, 위험도 분석, 솔루션의 효율성과 비용. ③ 기후 변화를 포함한 콘크리트 및 석조댐에 대한 다양한 Risk - 사고에 관한 데이터. 위험도 분석. 구체적인 치료법. ④ 위험 관리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비구조적 방법. - 경보 시스템, 공공 안전, 사고에 관한 데이터. |
|
Question 102 | Geology and Dams (지질과 댐) |
① 댐 유형 선정 및 댐 설계와 관련한 기초지반의 지질 (조사, 해석 및 특성분석). ② 기초 처리 : - 기초 차수 (예 : 그라우팅, 제트 그라우팅, 컷오프 월, 딥 컷오프 등) - 기초 강화 (예 : 압밀 그라우팅, 앵커링, 콘크리트 갤러리 등) ③ 장기 성능을 포함한 계측 및 모니터링, 기초의 거동. ④ 연약한 암반 기초 및 깊은 과도한 하중에 관한 기초와 관련된 문제와 해결책. ⑤ 저수지 및 산사태. |
|
Question 103 | Small Dams and Levees (소형댐 및 제방) |
① 제방의 붕괴모드 : 교훈, 위험도분석, 안전 수준. ② 제방의 설계, 건설 및 보강, 당초 설계상의 문제점. ③ 제방의 관리, 점검 및 모니터링. ④ 15m 이하의 수천 "대형 댐"의 유지 보수 및 복구공사를 위한 경험 있는 특정 문제 및 해결책. ⑤ 15m 미만이고 1 백만 m3 미만 저수용량의 수백만 개의 소형 댐의 운영, 유지보수 및 복구공사 관련 경험, 특정 문제 및 해결책. |
제86차 집행위원회 (7.3)
ICOLD 총재 및 부총재 선출, `19~`21년 연차회의 준비사항 보고, `22년 연차회의 개최지 선정
※ 한국대댐회 참석자 : 김봉재 기획부회장, 김동수 국제협력부회장
□ 총재 선출 (2018~2021)
성명 | 국적 | 추천 | 주요활동 | |
---|---|---|---|---|
![]() |
Michael Rogers |
미국 | 미국대댐회 | - 前 미국대댐회 회장 - 現 아메리카존 부총재 - Civil Engineer |
○ Africa Zone (아프리카존 부총재)
성명 | 국적 | 추천 | 주요활동 | |
---|---|---|---|---|
![]() |
Michael Abebe |
에티오피아 | 에티오피아 대댐회 |
- 에티토피아대댐회 회장 - 25년 이상 경력 - ICOLD 다수 참가 (2013~) |
○ the 6th post(6차석 부총재)
성명 | 국적 | 추천 | 주요활동 | |
---|---|---|---|---|
![]() |
Ali Noorzad | 이 란 | 이란 대댐회 | - 이란대댐회 회장 - 도로도시개발부 차관 - 교통인프라 개발공사(CDTIC) 사장 |
□ 연차회의 관련 안건
○ `19년 제87차 연차회의(캐나다) : 준비사항 보고
○ `20년 제88차 연차회의(인도 뉴델리) : 준비사항 보고
○ `21년 제89차 연차회의 및 27차 총회(프랑스 마르세유) : 준비사항 보고
○ `22년 제90차 연차회의 개최지 후보 : 이란 시라즈
□ 기존 기술분과위원회 연장 (9개)
○ 댐안전기술위원회 등 9개 위원회 운영 연장 의결
□ 기술분과위원회 Technical Report 제출 (6건)
○ (H) Dam Safety : Pre-operational Phases of the Dam Life Cycle
○ (C) Hydraulic for Dams&(S) Flood Evaluation and Dam Safety:Blockage of Spillways and Outlet Works
○ (D) Concrete Dams : Roller-Compacted Concrete Dams
○ (M) Operation, Maintenance and Rehabilitation of Dams : Operation of Hydraulic Structures of Dams
○ (E) Embankment Dams : Asphalt Concrete Cores for Embankment Dams
○ (Q) Dam Surveillance : Lessons learnt from case histories
→ 前 ICOLD 부총재 Pujol(아르헨티나) 강력추천 보고서
3 주요성과
□ 한국대댐회(KNCOLD) - 미국대댐회(USSD) MOU 체결 (`18. 7. 2)○ 기술자료 및 전문가 교류, 기술 시찰 및 정보 교류, 교육 협력, 워크숍, 세미나, 회의 등 참석 등 포괄적 내용
○ 구체적인 실행 계획은 상호 Working group 논의를 통해 향후 확정
- 현재 고려중인 실행 계획으로
① 오로빌 댐 사고 관련 노후화 댐에 대한 안전 조사 신기술(비육안조사 등) 및 제도변화 가이드라인 공동 연구
② 4차산업혁명의 댐 안전관리 접목 기술(머신러닝, ICT, VR, Big data) 개발 연구보고서
③ USACE, USBR 채택 위험도 기반 댐 안전관리 기술 가이드라인 교육 및 번역서 발간
④ 댐 형식별 내진해석 기술 best practice 가이드라인 연구 개발
⑤ 댐 지진 관측 수집 데이터(스탠포드대학) 활용 댐 지진 시 거동 분석 연구 등
○ 2017 미국 Oroville 댐 사고로 촉발된 댐 노후화 및 안전 분야 기술, 정책 등 강화에 대한 실무적인 기술 습득 등 기대
□ 한국대댐회(KNCOLD) - 캐나다대댐회(CDA) MOU 체결 (`18. 7. 4)
○ 교육훈련 프로그램, 공동 심포지엄, 기술 컨설팅, 공동연구프로젝트 분야에서 상호이익을 목적으로 협력
○ 특히 캐나다대댐회의 선도분야인 「댐 주변 공공안전」가이드라인 번역서 발간 및 교육 프로그램을 구체적 실행 계획으로 확정
- 국내에서 댐 주변 공공안전 가이드라인 부재로 새로운 기술 및 제도 마련 기대, 환경부 및 K-water, 한국대댐회의 사회적 기여 공헌 기대
○ 2019 ICOLD Otawa 연차회의 시 양국 댐기술 파트너 워크숍 등 협력 강화
□ 댐 기술동향 습득 및 분석
○ (댐 수치해석 분야) 기술위원회 중심의 벤치마크 워크숍으로 최적 댐 설계 및 해석 모델링 기술의 실습과 기술적 가이드라인 마련 추진
- 콘크리트댐, 아치댐의 3차원 비선형 동해석기술 및 사력댐의 노후화에 따른 장기 거동 해석 기술을 중점적으로 훈련
○ (댐 내진 분야) 최근 중국 및 일본 등의 강진 사례 분석의 기술 공유와 토의를 통해 내진설계 기준 상향 추세, 댐 지진관측 자료의 공유와 분석 추진
- 지속적 기술 논의를 통해 댐 내진 분야 국제 기술의 best practice를 제시
- 댐 부대시설, ACRD, RCC 댐에 대한 내진설계 기술 지속 논의
○ (콘크리트댐 분야) 오로빌댐 여수로 사고 이후 RCC 보강기술에 대한 혁신 기술의 지속 추진
- RCC 기술에 대한 새로운 Bulletin 발간 추진
○ (필댐 분야) ACRD 등에 대한 우수한 형식의 필댐 Bulletin 발간 추진, 난이도 높은 댐 기초처리 기술에 대한 상당한 발표와 논의
- 특히 기존 필댐의 하부 불리한 기초처리 기술의 본격적인 사례 발표 및 대심도 충적층 기초처리 등의 기술표준, 방법, 신기술, 장비 등 소개
○ (댐안전 분야) 댐 노후화에 따른 안전관리 및 성능개선, Risk-informed decision making
(위험도 기반 의사결정) 체계에 대한 논의 활발
- 일본과 미국의 경우, aging 댐에 대한 성능 향상 사업을 국가 주도로 활발하게 추진 중이며, 지속가능한 댐 시장 형성
- 특히 오로빌댐 여수로 사고 이후 미국 댐 안전관리에 대한 근본적인 기술·제도 혁신이 진행 중
- 미국(육군공병단, 개척국), 호주, 영국, 프랑스, 멕시코, 남아프리카, 노르웨이 등 주요 댐 관리 기관은 이미 위험도 기반의 댐 관리체계가 법제화 되어 있으며, 중국 및 스페인 등에서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 영국대댐회(BDS) : 위험도기반에 대한 토론과 더불어 Asset management 개념 도입을 고려하기 시작
○ (댐 주변 공공안전 분야) 국내에서는 생소한 분야이나, 캐나다와 미국을 중심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공공의 안전 분야로 적극적 도입 필요
- 국내 실정에 맞는 기술적 제도적 체계 마련 추진으로 공기업의 사회적 가치 실현 및 댐 이미지 개선에 상당한 기여 예상
○ (역량강화와 댐 분야) 2018년에 정식 기술위원회로 승인되었으며, 댐 기술자 및 댐 소유기관의 역량 강화를 위한 각 국의 제도 및 기술 체계 조사 진행 예정
○ (기타 분야) 저수지 퇴사, 수력발전소·저수지 통합운영, 대중인식과 교육, 세계 댐 등록, 시멘트댐, 댐 상태점검, 다목적 저수지, 홍수평가와 댐안전, 21세기 댐·저수지 전망과 새로운 도전, 댐 유역관리, 유체역학 및 설비, 제방 등 기술위원회 중심의 기술적 근간 마련 지속
□ 글로벌 네트워킹
○ 각 국 대댐회 임원 및 학계·업계 전문가, MOU 국가 이사회 임원 등 광범위한 인적 교류 및 네트워킹으로 KNCOLD의 휴먼 인프라 양적·질적 확대
4 신기술 조사
□ (수중 조사 기술) 댐 및 부속시설 수중조사 기술 홍보 업체의 괄목할만한 성장 및 확산○ (Hibbard-미국) 댐, 장대 도수터널, 취수탑 및 수도 매설관 등의 고해상도 이미지 촬영, 레이저스캐닝, 단면 생성 기법, 실시간 변형 탐지 기술, GPS기반 위치 추적기술 등의 접목으로, 원거리 수중조사 가능, 고객 맞춤형 수중 보수보강 장비 및 시스템 제시
○ (VRT-핀란드) 댐 및 취수탑 등 수중구조물 스캐닝시 이미지 왜곡이 없는 매우 정밀한 탐사 및 해석 결과 제공으로 수중구조물의 유지관리 및 장기거동 모니터링 등에 적합
□ (지중 누수경로 매핑 기술) 기존 3차원 전자기장 탐사기술의 지속 혁신
○ (Willowstick-미국) 기존의 전자기장 활용 지중 3차원 누수경로 탐사 기술을 확장하여 유지관리를 위한 반복적 탐사 후 비교분석을 수행하는 프로세스 개발 활용, 측정의 신뢰도 제고 알고리즘 지속 개선
□ (콘크리트댐 차수 및 균열 보수 기술) 조인트 누수 차수에 관한 신기술
○ (Engineerd Solution Inc.
- 미국) 폴리우레탄 러버 이용, 물과 접촉시 팽창하여 조인트부 차수, 조인트의 거동 허용
□ (수치해석 기술) 복잡다단한 구조, 지반, 수리 조건을 함께 고려하는 비선형 해석 소프트웨어의 발달
○ (DIANA-네덜란드) 댐 및 부속시설의 구조, 지반, 수리적 특성을 고려한 대단히 복잡한 선형, 비선형 수치해석 소프트웨어로, 지반 액상화를 고려한 3차원 동해석 구현 가능
□ (댐 보수보강 기술) 조립재 및 콘크리트 누수 등 다양한 환경에서의 다양한 지수/차수 재료 개발 활용
○ (MC
- 독일) 댐 콘크리트 구조체의 누수 보강 및 다공질 조립재 층의 차수/지수 보강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환경적으로 문제가 없는 보강 재료 및 보강기술 제시.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하는 각종 균열에 대하여 주입에 의한 Bonding, Filling 및 Sealing 관련 재료 및 시공 기술 제공
□ (아스팔트 차수 기술) 우수한 댐 기술로 인식되고 있는 아스팔트 차수의 최적 배합설계 및 시공 기술 발전
○ (Walo
- 스위스, Videkke
- 노르웨이) 유럽, 일본, 중국 등에 확대되고 있는 아스팔트 코어 및 아스팔트 차수벽에 최적화된 배합설계, 품질관리, 건설관리 등을 수행, 최근 내구성과 기능성을 갖춘 독자적인 기술을 지속 개발, 적용
□ (노후댐 성능개선 기술) 일본 및 미국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성능개선 요소 기술의 혁신 적용
○ (JCOLD, 일본대댐회) 일본 국토교통성의 장기적인 계획 및 주도하에 진행되고 있는 기존댐 성능개선 사업 관련, 각종 신기술의 지속 적용 (예. 기존 콘크리트댐에 가물막이 미설치 후 상당한 규모의 방류관의 굴착 시공 등)
□ (기초처리 기술) 지반공학적으로 불리한 기초처리, 기존 댐체를 수직관통하는 기초처리, 대심도 충적층 기초처리 기술 등의 정확성 및 시공성 확대
○ (Bauer
- 독일)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불리한 댐 기초처리 분야의 선두주자로서, 대심도 충적층 기초처리, 댐 관통 기초처리 등이 가능한 트렌치 커터, 하이드로밀, 시공기술 등으로 보유
(캐나다 페리봉카 댐은 100m 이상 기초 충적층을 성공적으로 차수벽 설치)
□ (InSAR 댐 모니터링 기술) 인공위성을 활용한 댐을 포함한 저수지 부지의 고해상도 변형 감시 기술의 정확도 및 분해능 향상
○ (TRE Altamira
- 스페인) 댐 현장의 방문 없이 사무실에서 원격으로 댐 및 주변부지 변형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고분해능의 다양한 파장을 이용하여 식생의 필터링이 가능한 수준의 실용 기술 확보
5 종합의견 및 향후계획
□ 신기술·제도의 국내 도입 및 활용 추진○ (노후댐 성능개선 기술 및 재난대응 체계 개선)
- 미국 오로빌 댐 여수로 보강공사 기술, 독립조사위원회의 사고 원인 및 조사 활동 체계, 비상대처 계획 및 대중 인식 조사 분석, 향후 안전관리 제도 혁신 등 선진 체계의 적극 모니터링 및 벤치마킹 필요
- 일본에서 국가주도(국토교통성)의 인프라 장수명화 전략과 기존댐 성능개선 사업에 대한 적극적 벤치마킹 필요
※ 오로빌댐 여수로 사고 조사 결과 중요한 두 가지 교훈
- 육안조사 및 점검으로 댐 및 부속시설의 위험 징후를 판정하는 것의
한계성과 더불어 보이는 징후만으로 위험도가 지배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과
- 건설 당시의 재료적 특성, 물성, 정보 등의 보존과 DB화의 중요성을 인지
⇒ 결과적으로
- 기존의 육안조사 위주 점검에서 보이지 않는 위험징후 파악을 위한 조사점검 기술의 확보 연구가 중요하며
- 건설당시 기술적 특성을 DB화하여 현재의 aging 상태와 위험도 판정에 활용 가능한 분석 연구가 실용적으로
부각
- 일본의 경우, 주요 댐에 국민적 인식 전환을 위한 댐 카드 제도 및 방문 시 스탬프 발행
- 미국 Infrastructure Report Card 제도(ASCE)를 통한 댐의 현재 중요성 및 노후화 정도 피력, 향후 경제적 투자비용 산출, 정책 제언 지속
○ (신기술 활용 모색)
- 댐 및 수도사업자로서 Hibbard사의 수중 ROV 조사기술 및 Willowstick 누수경로 매핑 기술, MC사의 누수 보수보강 기술은 활용성이 큰 기술로 인식
- Bauer사의 불리한 기초 처리 기술 및 Walo사의 아스팔트 차수기술은 향후 Nenskra 사업 및 유사 사업에 활용 가능
- 일본 및 미국의 성능개선 요소 기술은 최근 시작되고 있는 기존댐 안전성 강화 사업에 벤치마킹 가능
○ (댐 주변 공공안전) 국내에 부재한 분야로 캐나다대댐회(CDA)와의 MOU 체결 후속 조치 이행을 통해 선도적인 가이드라인 및 제도 마련, 공사의 이미지 제고에 기여
- 댐의 공공안전 기여도, 위험도 등에 대한 기술, 제도적 체계 마련하여 댐 기능의 공공성에 대한 새로운 가치 발굴
□ 지속적·국제협력적 기술개발 및 국내외 시장 확대 추진
○ (정부정책 기반의 지속적 기존댐 재개발 기술 개발 및 사업 추진)
- 일본 국토교통성(물관리·국토보전국)은 홍수재난관리 및 수자원관리 중장기 전략(댐의 장수명화, 기존시설의 유지관리 효율화, 이치수 기능의 증강, 하천환경의 개선, 수원지역의 활성화, 국제공헌 등) 의 지속추진 및 국내외 사회·환경 변화를 고려한 새로운 전략방향 수립·추진
* 일본 국토교통성 : 빈발하는 홍수·가뭄의 피해경감 및 재생가능 에너지 도입을 위한 기존댐의 유효활용 등을 위한 ‘댐 재생 비전’ 수립·추진 (`17.6.27)
* 일본 대댐회(JCOLD) : 운영 중인 댐의 성능개선 기술자료 update 지속
* JICA 및 정부 : 일본 댐 재개발 기술의 해외시장 진출 협력 지속 지원
○ (선진국 및 개발도상국과의 국제 공동 기술개발·교류)
- 대댐회 등을 통한 기술선진국, 댐 및 수자원 사업 강국은 물론 개발도상국과의 국제심포지엄 및 정기적 기술교류 등을 통한 국내 물산업 진출 활성화
* 미국대댐회 : 남미 대륙국가들과의 지속적 기술교류 추진
* 일본대댐회 : 프랑스 대댐회 및 미국대댐회 등과 내진설계 및 보강 기술 관련 국제공동 워크샵 개최 및 가이드라인 발간
* 중국대댐회 : 정기 아프리카 라운드테이블 회의 등과 같은 국제공동교류 지속추진 및 시장 확대 추진 중
(2018년 EADC 회의 시 Africa Roundtable 동시개최 예정)
□ 한국대댐회 활성화 및 체계적인 ICOLD 참여 필요
○ (질적 참여 미흡) 한국은 ICOLD 등록 대댐 수 기준 세계 6위권의 수자원 확보국이나 이에 부응하는 대댐회 활성화는 미흡
- ICOLD는 댐 기술 분야 최고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집단지성의 장으로 국제적인 기술의 best practice 제정, 신기술의 공유 등 활용가치 대단히 높음
- ICOLD(국제대댐회) 연차회의 및 Congress 제출 논문 편수는 중국, 일본 등 주변국에 비해 현저히 미흡
- 댐기술의 글로벌 best practice 선도는 ICOLD 기술위원회에서 담당하고 있으나, 한국대댐회의 기술위원회 참여율은 대단히 낮으며, 위원의 활동도 단편적임
- 미국대댐회(USSD), 캐나다대댐회(CDA), 호주대댐회(ANCOLD) 등은 매년 연례적인 자체 기술 컨퍼런스를 매우 활발히 진행하나 한국대댐회는 미흡
○ (국제협력 수요증대) 물관리일원화에 따른 환경부 이관, 건설 위주에서 안전관리 및 재개발 위주로의 정책 변화와 해외 신규시장의 기술적 난제 해소를 위한 글로벌 댐 기술 확보 필요성 증대
- 국내 신규 댐사업의 정체와 해외 수력발전용 댐사업의 기술적 난제 가운데, 노후화 및 지진 위험 등으로 유지관리 및 안전, 재개발 수요 증대로 대댐회 중심의 새로운 모멘텀 마련 절실
○ (MOU 후속 조치 실행력 강화 필요) 미국대댐회, 캐나다대댐회와의 MOU는 향후 Working Group 미팅을 통한 실행력 있는 프로그램의 추진을 담보로 체결
- 특히 MOU 후속 조치 실행을 위한 예산 및 인력지원 확보 중요
□ 한국대댐회 활성화를 위한 제언
○ (MOU 프로그램 실행력 강화) 실행력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차질 없는 이행으로 글로벌 파트너쉽을 통한 가치 창출 구현
- 한국대댐회 국제협력위원회를 중심으로 Working group 구성(김동수, 신동훈, 박동순, 류민규) 및 협력 과제 발굴
- MOU 과제 확정 시 실행력 강화 및 예산 확보를 위해 K-water 신규 연구과제(국제 공동연구)로 1차년도 진행 추진(2018년 3분기 중)
- 1차년도 공동연구를 통한 성과 연착륙 시 후속년도 국제협력의 범위와 예산 확대 시행
○ (ICOLD 질적 참여 제고) 글로벌 파트너쉽의 증대를 통한 국내 댐시장 활성화를 위해 ICOLD 연차회의 및 Congress 질적 성장 도모
- 대댐 수 기준 세계 6위권 규모에 걸맞은 심포지엄 및 Congress 논문 제출 추진
- 매년 큰 폭으로 바뀌는 기술분과위원회 한국대표의 명단을 실제 지속가능한 참여와 이행이 가능한 명단으로 전환, 지속 참여 및 Bulletin 작업에도 관여 추진
- 출장자의 사전 의향 조사 및 조기 선정, 예산 확보 추진
○ (국내 활동 강화 및 제도 정비)
- 댐 기술 공유와 확산 및 관심유도를 위한 국내 Annual Conference 신설
- 핵심 ICOLD 기술분과위원회 및 MOU 이행에 대응하기 위한 국내 기술전문가 참여 활동을 위한 예산 확보 필요
- 대댐회 참여자 등 대댐회 회원가입 지속 확대 및 재무건전성 확보 추진
6 활동사진
![]() |
![]() |
기술분과위원회: 댐유역관리 (7/1) | |
![]() |
![]() |
기술분과위원회: 댐안전 (7/1) | |
![]() |
![]() |
기술분과위원회: 저수지퇴사 (7/1) | |
![]() |
![]() |
Regional Club - Asia Pacific Group(APG) 회의 (7/1) |
|
![]() |
![]() |
Regional Club - Asia Pacific Group(APG) 회의 (7/1) |
|
![]() |
![]() |
국제심포지엄 개막식 (7/2) | |
![]() |
![]() |
오로빌댐 여수로 사고 특별세션 (7/2) | |
![]() |
![]() |
댐안전 기술분과위원회 워크숍 (7/2) | 댐내진설계 기술분과위원회 워크숍 (7/2) |
![]() |
![]() |
한국대댐회-미국대댐회 MOU 체결 (7/2) | |
![]() |
![]() |
국제심포지엄 발표 - 장창래 교수(교통대) (7/2) |
국제심포지엄 발표 - 이태근 과장(시안공) (7/2) |
![]() |
![]() |
국제심포지엄 발표 - 이상호 교수(부경대) (7/2) |
국제심포시엄 포스터발표 - 박지연 연구원(시안공) (7/2) |
![]() |
![]() |
국제심포지엄 포스터발표 - 주홍준 연구원(인하대) (7/2) |
국제심포지엄 포스터발표 - 최병한 박사(농어촌연구원) (7/2) |
![]() |
![]() |
국제심포지엄 포스터발표 - 이백 박사(농어촌연구원) (7/2) |
총회(Congress) 포스터발표 - 김동수 교수(KAIST) (7/2) |
![]() |
![]() |
총회(Congress) 포스터발표 - 박동순 박사(K-water) (7/2) |
포스터 발표 참관 (7/2) |
![]() |
![]() |
국제심포지엄 발표 - 이연주 차장(K-water) (7/3) |
국제심포지엄 발표 - 안기용 차장(K-water) (7/3) |
![]() |
![]() |
국제심포지엄 발표 - 전경수 교수(성균관대) (7/2) |
국제심포지엄 발표 - 박동순 박사(K-water) (7/2) |
![]() |
![]() |
제86차 ICOLD 집행위원회(General Assembly) (7/3) | |
![]() |
![]() |
제86차 ICOLD 집행위원회(General Assembly) (7/3) | |
![]() |
![]() |
기술투어(Danube & Freudenau, the Vienna City hydropower plant) (7/3) | |
![]() |
![]() |
제26차 총회 개막식 (7/4) | |
![]() |
![]() |
한국대댐회-캐나다대댐회 MOU 체결 (7/4) | |
![]() |
![]() |
기 술 전 시 회 | |
![]() |
|
한국대표단 단체사진 |
참고1 한국대표단 명단
소속기간 | 참가자 | |
---|---|---|
K-water | 8 | 김봉재 부사장, 박정수 처장, 전근일 부장, 류민규 차 장, 안기용 차장, 이연주 차장, 신동훈 소 장, 박동순 박사 |
환경부 | 2 | 박병언 과장, 허영기 사무관 |
한국과학기술원 | 1 | 김동수 교수 |
부경대학교 | 4 | 이상호 교수, 진영규 박사과정, 정택문 학생, 선동균 학생 |
성균관대학교 | 2 | 염경택 교수, 전경수 교수 |
인하대학교 | 2 | 김형수 교수, 주홍준 연구원 |
교통대학교 | 1 | 장창래 교수 |
한국남동발전 | 3 | 김경식 처장, 김용기 차장, 송석모 대리 |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2 | 최병한 박사, 이백 박사 |
한국수력원자력 | 4 | 오순록 전무, 차범린 차장, 박수원 차장, 장성호 과장 |
한국시설안전공단 | 3 | 이태근 과장, 김경진 대리, 박지연 연구원 |
계룡건설 | 2 | 김기원 상무, 조일권 팀장 |
금호건설 | 1 | 김성배 부장 |
대림산업 | 3 | 이영대 상무, 최동남 소장, 이동현 차장 |
대우건설 | 2 | 장승규 상무, 채석준 팀장 |
와 텍 | 1 | 이규환 사장 |
한화건설 | 1 | 김옥철 부장 |
현대건설 | 2 | 김진수 전무, 이양재 과장 |
SK건설 | 2 | 김종해 대표이사, 김성구 상무 |
한국대댐회 | 2 | 정의택 사무국장, 이다정 대리 |
합 | 48 |
참고2 수집자료
![]() |
![]() |
(Bulletin 158) Dam Surveillance Guide |
(Bulletin 170) Flood Evaluation and Dam Safety |
![]() |
![]() |
ICOLD 제26차 Congress(총회) 논문집 & USB |
2018 ICOLD Symposium Book of Extended Abstracts |
![]() |
![]() |
Pumped Storage Hydropower in Austria |
ICOLD(국제대댐회) 제87차 연차회의 Initial Bulletin (캐나다대댐회) |
![]() |
![]() |
Report for Asia-Pacific Group(APG) of ICOLD (중국대댐회) |
Dams in Japan Overview 2018 |
![]() |
![]() |
JCOLD CD (Japanese Dam Technologies Contributing to the World 2018) |
Hydropower & Dams 잡지 (Volume Twenty Five, Issue 3, 2018) |
![]() |
![]() |
Hydro Review 잡지 (Volume 37, No. 5, 2018 June) |
BRAUN 브로셔 (Innovations for Waterpow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