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대댐회

ICOLD 연차회의

2019년 ICOLD 제87차 연차회의

목록

1 출장개요

□ (행사명) 국제대댐회(ICOLD) 제87차 연차회의
□ (기 간) 2019. 6. 9(일) ~ 6. 14(금)
□ (장 소) Shaw Centre, 캐나다 오타와
□ (참가자) 101개국 회원 중 75개국 대댐회 관계자 약 1,300여명 참가
※ 한국대표단 : 18개기관 37명 참가
환경부(1), K-water(8), 대진대(2), 부경대(1), 시립대(2), 성균관대(2), 인하대(1), 남동발전(2), 농어촌(2), 한수원(2), 시안공(2), 계룡(1), 금호(1), 대림(3), 대우(1), 현대(2), SK(2), 대댐회(2)
□ 주요일정
날 짜 주 요 일 정 비 고
6. 9(일) ① ICOLD 사무국 및 기술분과위원장 회의
② CDA Short Courses (추가비용 有)
시티투어
6. 10(월) ① 기술 워크숍
② 미국대댐회(USSD) MOU 후속과제 회의
③ Young Engineers Forum(YEF) 회의
시티투어 환영리셉션
6. 11(화) ① 기술분과위원회 회의
② Regional club 회의(APG)
③ Young Professionals Networking
기술전시회 한국대댐회 만찬
6. 12(수) ① 국제심포지엄 기술전시회 문화체험
6. 13(목) ① 국제심포지엄
② 기술투어 (반나절 또는 종일, 추가비용 有)
기술전시회
6. 14(금) ① 집행위원회(General Assembly)
② Partner Seminars (KNCOLD&CDA : 9:00~12:30)
환송만찬

2 주요활동

MOU 후속 실행과제 협의

6.10(월), 15:00~17:00

□ 일 시 : 2019.06.10.(월), 15:00~17:00
□ 장 소 : Shaw Centre 회의장
□ 협의대상 : 미국대댐회(USSD)
□ 면 담 자 : (미국대댐회) 회장, 부회장, 직전회장, 전전회장 (한국대댐회) 김봉재 부회장 등 6명
□ 협의안건 : MOU 후속과제 실행 관련 실무 추진방향 협의
□ 협의결과

○ (실행주제 확정)
① 지진 시 댐의 경험적 거동(Observational seismic dam performance),
② 댐 사고 사례 연구(Dam incident case history study)

* 스탠포드대학 National Performance of Dams Program (NPDP) 및 지진위원회 협업
○ (세부 과업내용 협의) 구체적인 Work scope은 상호 협의를 통하여 세분화하도록 협력하고, 기본적으로 ICOLD 연차회의시 실무 미팅과 상호 대댐회 자국 컨퍼런스 시 초청발표 등을 정례화 추진
○ (Working Group 구성) 과제실행을 위해 양측의 실무 참여자를 공론화하여 모집하기로 결정
○ (예산지원) 양 대댐회의 특성을 고려한 예산 확보 방안을 상호 마련하기로 결정
○ (상호 교신) 이메일과 텔레컨퍼런스 등을 활용하여 구체적인 실행과제 추진협의를 합의


□ 추진이력
○ 2018.07 : ICOLD 86차 연차회의(오스트리아 빈), MOU 체결
○ 2018.10 : CDA 2018 컨퍼런스(퀘벡), 실행과제 협의
○ 2019.04 : USSD 2019 컨퍼런스(시카고), 실행과제 협의
□ MOU 내용(USSD)
○ (기 간) 5년, 법적 구속력 없음
○ (내 용) ① 워크샾 및 컨퍼런스 개최, ② 기술자료 및 전문가 서비스 교환, ③ 기술견학 및 정보 공유, ④ 전문인력 교환 및 공동 연구, ⑤ 교육훈련, ⑥ 기타 합의 프로그램
□ 1주제 : 경험적 댐 지진 성능(Observational seismic dam performance)
○ (배 경) 지진 시 경험적 댐 거동 사례는 댐의 내진설계 및 극대지진에서 내진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귀중한 자산이지만, 현재까지 댐 강진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 활용은 미진한 실정임
○ (내용) 신규 댐 내진설계와 기존 댐 내진성능평가 기술발전을 위해 아시와와 미국 등 전 세계의 경험적 댐 지진 거동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는 국제협력을 실행
○ (추진형태) Stanford NPDP를 중심으로 과제 실행을 합의, 보다 구체적인 세부 실행방안은 미국대댐회 지진위원회 내 자원자를 추가 선정하여 추후 협의
○ (현재 미국 내 진행사항) ① 스탠포드대학에서는 전 세계 실시간 지진과 주변 댐의 데이터 수집 및 보고서 수집 중이며 웹기반으로 공유 서비스 중, ② 필댐에 대한 내진 위험도(seismic risk) 연구 진행 중, ③ 차세대 지반 액상화 프로젝트 추진, ④ 이와 관련하여 스탠포드 대학은 국제협력을 추진
○ (향후 세부 추진전략안) ① 공동으로 댐의 내진성능에 관한 소규모 워크샾 개최, ② 지진 시 경험적인 댐의 성능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및 라이브러리 구축 (지진파, 댐의 균열 및 변형, 계측기록, 사진 등 세부 정보 포함), ③ 필댐 균열과 내부침식 가능성, ④ 경험적 댐 관측 기록으로부터 지반응답을 예측하는 모델 개발, ⑤ 경험적 기반 fragility curve 개발
○ (성과물) 데이터베이스(faltfile), 보고서 및 논문
○ (기대효과) 댐의 강진 시 거동에 관한 통찰력 제공, 댐 내진설계 및 내진성능평가에 귀중한 경험 모델 제공, 보다 신뢰성 높은 댐의 비선형 거동 예측


▲ 지진 시 필댐의 침하량 분포 통계 (Swaisgood 2014)


□ 2주제 : 댐 사고 사례 연구(Dam incident case history study)
○ (배경) 최근 브라질, 오로빌 및 라오스 사고로부터 보다 깊이 있는 댐 사고 원인, 조사, 분석, 공공의 인식 및 대처 등에 관한 교훈의 기술적, 제도적 정립 필요
○ (내용) 전 세계 주요 댐 사고 자료의 수집, 원인 분석, 공공의 반응과 비상상황 대처, 댐 안전 기술 및 제도의 변화, 교훈과 시사점
○ (현재 미국 내 진행사항) 스탠포드대학의 National Performance of Dams Program에서 미국 내 댐 붕괴 데이터베이스를 지속적으로 구축, 통계자료로 제공하고 있음
○ (협의결과) Stanford NPDP를 중심으로 기본적인 협력 실행을 합의하였으며, 향후 구체적인 세부 실행 계획에 대해서는 지속적 협의 예정
○ (성과물) 보고서
○ (기대효과) 댐 안전 기술 및 제도의 선진화


▲ 1848 - 2017 미국 내 댐 붕괴 현황

기 술 분 과 위 원 회

□ 기술 워크숍 【6.10(월), 8:30 ~ 16:30】
No. 기술위원회 명칭 시간 주요 논의 내용
A,D 댐 설계 및 해석의 수치해석 / 2017-2020
(COMPUTATIONAL ASPECTS OF ANALYSIS AND DESIGN OF DAMS)
14:00-16:30 현대적 아치댐 설계 기준과 방법
C 댐수리학 (HYDRAULICS FOR DAMS) / 2019-2022 08:30-12:00 댐 여수로의 기술적 도전들
D 콘크리트댐 (CONCRETE DAMS) / 2018-2021 08:30-12:00 RCC 댐 (Bulletin No. 177)현대적 아치댐 설계 기준과 방법
E 필댐 (EMBANKMENT DAMS) / 2017-2020 14:00-16:00 지오텍스타일 신규 Bulletin 업데이트 및 신규 Bulletin 제안서 검토(코퍼댐, 필댐의 변형과 균열, 컷오프 재료)
G 환 경 (ENVIRONMENT) / 2017-2020 14:00-16:30 댐과 환경적 편익의 고려
H 댐안전 (DAM SAFETY) / 2018-2021 14:00-16:00 글로벌 댐 안전 연구-법률과 제도적 장치 (World Bank)
I 댐 주변 공공안전 / 2016-2019
(PUBLIC SAFETY AROUND DAMS)
08:30-12:00 댐 주변 공공안전
K 수력발전소&저수지 통합운영 / 2015-2019
(INTEGRATED OPERATION OF HYDROPOWER STATIONS AND RESERVOIRS)
08:30-12:00 계단식 수력발전소와 저수지의 최적 운영
L 테일링댐 / 2017-2020
TAILINGS DAMS & WASTE LAGOONS
14:00-16:30 테일링댐 설계(신규 Bulletin)
LE 제방 Levees 08:30-12:00
14:00-16:30
댐과 제방의 비교, 제방과 홍수방어 시설
M 댐의 운영, 유지관리 및 재개발 (OPERATION, MAINTENANCE AND REHABILITATION OF DAMS) / 2017-2020 14:00-16:30 댐 운영 및 유지관리 실패 사례
P 시멘트댐 / 2017-2020
(CEMENTED MATERIAL DAMS)
14:00-16:30 시멘트댐 설계, 시공, 안정성 평가 및 모니터링
Q 댐 상태점검 (DAM SURVEILLANCE) / 2017-2021 08:30-12:00 댐 계측 데이터 획득과 거동 분석
S 홍수평가와 댐안전 / 2015-2020
(FLOOD EVALUATION AND DAM SAFETY)
08:30-12:00 홍수 평가, 위험도 결정, 위험 관리, 신규 Bulletin 검토
V 유체역학 설비 / 2016-2019
(HYDROMECHANICAL EQUIPMENT)
14:00-16:30
08:30-12:00
수력설비 신뢰성
Y 기후변화 (CLIMATE CHANGE) / 2017-2021 08:30-12:00 ICOLD의 기후변화 관련 업데이트
Z (ad hoc) 역량강화와 댐 / 2017-2021
(CAPACITY BUILDING AND DAMS)
14:00-16:30 역량강화를 위한 훈련 세션

□ 기술분과위원회 회의 【6.11(화), 8:30 ~ 16:00】
No. Name of Technical Committee
A 댐 설계 및 해석의 수치해석 / 2017-2020
(COMPUTATIONAL ASPECTS OF ANALYSIS AND DESIGN OF DAMS)
B 댐 내진설계 (SEISMIC ASPECTS OF DAM DESIGN) / 2017-2020
C 댐수리학 (HYDRAULICS FOR DAMS) / 2019-2022
D 콘크리트댐 (CONCRETE DAMS) / 2018-2021
E 필댐 (EMBANKMENT DAMS) / 2017-2020
F 수자원계획 (ENGINEERING ACTIVITIES WITH THE PLANNING PROCESS
FOR WATER RESOURCES PROJECTS) / 2014-2017
G 환 경 (ENVIRONMENT) / 2017-2020
H 댐안전 (DAM SAFETY) / 2018-2021
I 댐 주변 공공안전 (PUBLIC SAFETY AROUND DAMS) / 2016-2019
J 저수지 퇴사 (SEDIMENTATION OF RESERVOIRS) / 2017-2020
K 수력발전소&저수지 통합운영 / 2015-2019
(INTEGRATED OPERATION OF HYDROPOWER STATIONS AND RESERVOIRS)
L TAILINGS DAMS & WASTE LAGOONS / 2017-2020
LE Levees
M 댐의 운영, 유지관리 및 재개발
(OPERATION, MAINTENANCE AND REHABILITATION OF DAMS) / 2017-2020
N 대중인식과 교육 (PUBLIC AWARENESS AND EDUCATION) / 2018-2021
O 세계의 댐 등록 (WORLD REGISTER OF DAMS AND DOCUMENTATION) / 2017-2020
P 시멘트댐 (CEMENTED MATERIAL DAMS) / 2017-2020
Q 댐 상태점검 (DAM SURVEILLANCE) / 2017-2021
R 다목적 저수지 (MULTIPURPOSE WATER STORAGE) / 2013-2016
RE Resettlement due to Reservoirs
S 홍수평가와 댐안전 (FLOOD EVALUATION AND DAM SAFETY) / 2015-2020
T (ad hoc) 21세기 댐/저수지 전망과 새로운 도전
(PROSPECTIVE AND NEW CHALLENGES FOR DAMS AND RESERVOIR IN THE 21st CENTURY) / 2017-2020
U 댐유역관리 (DAMS AND RIVER BASIN MANAGEMENT) / 2018-2021
V 유체역학 설비 (HYDROMECHANICAL EQUIPMENT) / 2016-2019
W (ad hoc) 댐 형식의 선정 (SELECTION OF DAM TYPE) / 2015-2018
X (ad hoc) 재정 및 자문 (FINANCIAL AND ADVISORY)
Y 기후변화 (CLIMATE CHANGE) / 2017-2021
Z (ad hoc) 역량강화와 댐 (CAPACITY BUILDING AND DAMS) / 2017-2021

□ 댐 안전 위원회 Workshop
<주요 내용>
○ World Bank 수행, 각국의 댐 안전 정책, 제도에 관한 고찰 보고서 결과 내용 공유
○ World Bank의 주요 비전인 Ensuring shared prosperity를 글로벌 댐 안전 정책과 제도적 측면에서 접근, 통계 자료와 제언을 제시
<시사점>
○ 금번 컨퍼런스는 최근 일련의 댐 사고(2017 오로빌 여수로, 2018 라오스 부댐, 2019 브라질 테일링댐)와 관련하여 ‘댐 안전’에 대한 주제가 전반적인 기조를 보임
○ 댐의 안전에 관한 조사·평가 기술과 더불어 정책·제도적 측면에서 보다 적극적인 글로벌 동향을 분석하여 국내 댐 안전 기술 및 정책에 반영 필요
□ 댐 내진 위원회 Committee Meeting
<주요 내용>
○ “댐 강진 데이터 기록” 및 각국의 지진 시 댐 거동 조사 내용 소개
- 2016-2017 Central Italy 지진 시 댐 거동 등
○ CFRD, ACRD, 멤브레인 표면차수벽댐에 대한 내진 토의
○ 기술의 전수와 역량강화 방안 토의
○ 콘크리트댐과 필댐에 대한 비선형 지진 해석 방법 토의
<시사점>
○ 최근 강진을 겪은 댐에 대한 거동 관측 자료 축적에 따른 신규 Bulletin에 대한 능동적 이해와 관여 필요, 국정감사 등 지진 관련 대응에 기여 예상
○ 국내 주요 댐 형식으로 자리 잡은 CFRD 등의 지진 성능 특성에 대한 정보의 공유와 전수 필요
○ 해외사업 및 국내 내진설계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댐의 지진 성능 수치해석 기술의 국제적 수준 기술력 축적 필요
□ 댐 주변 공공 안전 Committee Meeting
<주요 내용>
○ 브라질 신규 댐 안전 법안의 한계점과 브루마디노 댐 사고 영향
○ 최신 기술을 활용한 공공 안전 관리 사례 소개
○ 미국대댐회의 댐 주변 공공 안전 이니셔티브 및 공공 안전 프로그램 개요 및 미국 댐안전관리자협회(ASDSO) 역할 소개
○ 캐나다대댐회 댐 주변 공공 안전 가이드라인의 한계점 소개
○ 댐 주변 공공 안전 Bulletin 내용 구성 검토 협의
<시사점>
○ 미국, 캐나다 등 일부 국가들을 중심으로 댐 주변 공공 안전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을 통해 체계적인 한국형 가이드라인 마련을 추진 필요
○ 국내 댐 공공 안전 관리 시스템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와 각국의 특성이 반영된 공공 안전 가이드라인에 대한 이해 필요
○ 국제적 수준의 댐 공공 안전 관리 체계 수립을 위한 역할 확대를 위해 지속적인 관심과 실행 체계 필요
□ 댐 유역관리 Committee Meeting
<주요 내용>
○ 유역관리에서 댐 역할의 사회적 인식 및 거버넌스 논의를 위한 인도네시아, 미국(Texas), 스페인, 칠레, 캐나다, 중국, 태국 등의 사례 발표
○ 한국은 영주댐 녹조 문제 해결을 위한 수질개선 종합계획 수립 및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거버넌스 구성 계획을 사례로 소개
- 한국의 국가물관리위원회 등 거버넌스, 물수요, 요금체계 등에 관심
<시사점->
○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도국 등에서도 물 부족에 대해 공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규 댐 건설에는 부정적 인식이 적지 않음
○ 댐 사업의 사회적 참여 과정(Public Participation Process)에서 해당 사업과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당사자 위주의 참여가 효율적

APG 지역 회의

【 6.11(화), 16:15 ~ 18:45】

< ICOLD-APG Regional Meeting >

□ 개 요
○ 일 시 : 2019.06.11.(화), 16:15~18:45
○ 장 소 : 202호, Shaw Centre
○ 주 관 : APG 의장국, 중국대댐회(CHINCOLD)
○ 참 석 : APG 회원국 약 40명
□ 댐 안전 관련 현황과 동향 발표
○ (중국대댐회) 최근 2년간 아태지역에서 발생한 댐 붕괴사고 3건에 대한 개요와 소개, 교훈 발표
○ (중국대댐회) 중국의 댐 안전 관리 시스템 소개, Regulations on Safety Management of Reservoirs and Dams로 규정 마련
○ (호주대댐회) 호주에서의 위험도 평가 방식과 절차 소개
○ (인도네시아대댐회) 활발하게 진행 중인 댐 건설사업과 유지관리에 대해 소개
○ (인도대댐회) 약 5천개 이상의 대댐에 대한 안전관리와 최근 추진 중인 댐 성능개선 사업(DRIP) 등을 소개
○ (이란대댐회) 약 120개 댐이 현재 건설 중이며, APG 컨퍼런스를 통한 댐 기술교류와 협력을 기대
○ (일본대댐회) 1997년 개정 발효된 하천법에 따라 댐 안전관리를 수행, 일본에서의 댐 안전관리 체계를 소개
○ (한국대댐회) Forensic engineering investigation에 대한 소개와 라오스 댐 사고(2018.07) 원인조사 결과에 대한 기술적 분석 내용을 소개, 제11회 EADC(2020년, 한국 개최예정) 소개
○ (말레이시아대댐회) 104개의 대댐을 보유, 최근 국제무대에서 활성화 추진, 41개 고위험군 분류 댐 보유, 댐 노후화 직면, 포괄적 댐 안전관리 가이드라인, 2019.11.19.-21 개최 예정인 댐 안전관리 국제 컨퍼런스 소개
○ (뉴질랜드대댐회) 뉴질랜드의 댐 안전 가이드라인(2015, 무료 배포)과 체계에 대해 설명, 2019.10.9.-11 개최되는 NZCOLD - ANCOLD 공동 컨퍼런스 소개
□ 차기 APG 컨퍼런스 소개
○ 2019년 12월(12.18-22), 이란에서 개최예정인 APG 컨퍼런스 내용에 대한 소개와 참여를 독려
□ 시사점
→ 최근 글로벌 댐 사고로부터 댐 관리에 있어 댐 안전을 최우선순위에 두어야 함을 교훈으로 인식
→ 예정되어 있는 아태지역 댐 컨퍼런스에 전략적 네트워킹을 위한 적극 참여와 교류 활성화 필요
* 2019.11.19.-21 (말레이시아대댐회), 2019.10.9.-11 (뉴질랜드-호주대댐회), 2019.12 (이란대댐회, APG)
→ 각국의 댐 안전 조사, 점검, 평가, 관리를 위한 댐 안전 가이드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나, 국내 가이드라인 부재로 산재되어 있는 기술 지침들을 분석, 연구하여 한국형 댐 안전 가이드라인 수립 시급
→ 위험도 평가 방식의 댐 관리 및 의사결정 지원체계는 주로 선진국을 중심으로 확산 정착되고 있으며, 투자 우선순위와 자산관리 개념에서 도입 타당성 연구가 필요

국 제 심 포 지 엄

【 6.12(수) ~ 13(목) 】

□ 주 제 : 지속가능하고 안전한 댐 (Sustainable and Safe Dam Around the World)
○ Innovation (혁신기술)
- 일반 댐 또는 테일링댐 및 여수로의 조사, 설계, 건설, 운영 및 유지 보수를 위한 최근 발전 및 기술
○ Sustainable Development (지속가능한 발전)
- 예 : 기후 변화, 퇴사, 환경 보호, 위험 관리 / 댐의 계획, 설계, 건설, 운영, 해체 전략
○ Hazards (위험)
- 일반 댐 및 테일링댐, 부속 구조물, 여수로 및 저수지 / 예를 들어 홍수, 지진, 산사태 등의 위험 경감
○ Extreme Conditions(극한 조건)
- 영구 동토 및 얼음, 건조 / 습한 기후, 지리적 위험 등
□ 논문발표 현황 : 총 14편
○ 구 두 발 표 : 5편 (K-water 4, 농어촌 1)
○ 포스터 발표 : 9편 (K-water 1, 시안공 2, 농어촌 1, 전북대 2, 성균관대 1, 부경대 1, 대진대 1)
<기조 발표>

□ 위험도 및 신뢰성 (NGI, 수잔 라카세 박사)
○ 확률론적 댐 안전성 평가가 댐의 안전과 성능개선 의사결정에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실제 사례를 통해 설명
○ PFMA(Potential Failure Mode Analysis) 만으로 잠재적 사고를 방지할 수 없음
○ 확률론적 분석은 결정론적 분석에 통찰력을 더할 수 있으며, 불확실성을 저감할 수 있고, 경제적인 성능개선을 위한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음
○ 안전율 자체만으로 실제 안전도를 정의할 수 없음
○ 재난은 서서히 축적된 원인들의 결과임
○ 흑백논리로 결정론적 방법과 확률론적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기보다는 상호보완적으로 두 가지 방법이 함께 필요함
○ 위험도(Hazard)와 결과(Consequence)가 함께 고려된 형태의 인식 전환이 필요
→ 댐의 안전성 평가에 있어 국내에 생소한 확률론적 접근 방법이 결정론적 접근 방법에 상호보완적이며 보다 바람직한 의사결정에 기여할 수 있어 이에 대한 관심 환기와 적극적 연구가 절실
□ 2018.07 라오스 부댐 붕괴사고 원인조사 결과 및 교훈
○ ICOLD Bulletin의 열대성 laterite 지반에 대한 이해가 필요
○ 기초지반의 침식성/투수성에 대한 분석과 컷오프월 및 배수 시스템의 중요성 부각
○ 실제 laterite 기초 지반의 투수성은 침투수의 형성에 따라 기대했던 것보다 훨씬 클 수 있음
○ 기초지반의 지형적 특성 역시 고려할 대상으로 인식
○ 부댐 역시 본댐과 같은 정도의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인식 전환 필요
○ 비상방류시설의 설치와 운영 절차의 중요성
○ 조기 경보시스템의 실제 운영과 작동 필요
□ 상류형 테일링 댐의 도전
○ Brumadinho 테일링댐 붕괴 사고와 교훈 발표
○ 테일링댐의 급작스런 붕괴 원인(정적 유동 액상화)의 의문점
○ 상류형 테일링댐 축조 방식은 저비용, 저유용 재료의 장점이 있지만, QA/QC가 어렵고 느슨한 광물 찌꺼기가 포화되어 정적 응력이나 지진하중에 의한 액상화에 취약

Partner Seminars

【 6.14(금), 9:00~12:00 】

□ 파트너세미나
○ 일 시 : 2019.06.14.(금), 9:00~12:00
○ 장 소 : 214호, Shaw Centre
○ 주 관 : 한국대댐회 부회장(김봉재), 캐나다대댐회 대회공동준비위원장(Tony Bennett)
○ 주 제 : 댐 안전관리에 접목 가능한 4차산업혁명 기술 (Emerging Intelligence Technologies Adaptable for Dam Safety Management)
<발표 내용>

○ (ACCIPITER) 댐 주변 공공안전을 위한 통합 Radar 감시 시스템 소개 (레이다, 광학 카메라, 열화상카메라)
○ (HATCH) 댐 시설관리를 위한 3D BIM 모델 제작과 적용사례
○ (Hibbard Inshore) 댐 및 부속시설물 수중 조사·점검을 위한 최신 ROV (광학, 멀티빔 소나, 레이저) 및 수리를 위한 Robotic Tool 소개
○ (류민규, K-water) 댐의 정기, 긴급 안전점검을 위한 중저가 드론의 적용 사례 발표
○ (박동순, K-water) 디지털 트윈 기반 댐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차세대 지능형 댐 안전관리 플랫폼(iDSP) 기획 소개와 드론 매핑, 디지털 모델링 기술 발표
□ 성과
○ 댐 안전관리 혁신기술에 대한 높은 관심과 호응(약 80명 참석)으로 차세대 기술방향 모색의 장을 활성화
○ 캐나다대댐회(CDA)와 MOU(2018.07) 후속 활동의 일환으로 공동주관 세미나를 실행함으로서 실효성 높은 Partnership 강화
○ 글로벌 댐 안전관리 기술의 공유와 배움의 장을 마련함으로서 국제무대 댐 기술 발전과 공유의 실천적 기반을 마련

집 행 위 원 회

【 6.14(금), 9:00 ~ 17:00】

□ 제27차 총회(2021년, 프랑스 마르세유) Technical Questions 채택(4개)
① Q 104 : Concrete Dams Design Innovation and Performance (콘크리트댐 설계 혁신 및 성과)
○ Innovations for arch dam analysis, design and construction; including RCC arch and arch-gravity dams.
○ Innovations for design, construction materials and placement methods, flood management during construction and performance of concrete dams, including RCC and cemented material dams.
○ Innovations for raising existing concrete dams.
○ Innovations for extremely high concrete dams
○ Operational performance of concrete dams during the life cycle, including under extreme conditions.
② Q 105 : Incidents and Accidents concerning dams (댐 관련 사건 및 사고)
○ Recent lessons from incidents and accidents concerning dams during the life cycle, including during construction.
○ Evaluation of the flows and flood, estimation and quantification of the consequences, including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aspects, in case of failure or incidents.
○ Emergency planning: regulation, organization, information of the population and examples of implementation
○ Governance of the safety: definition of the responsibilities, periodic reviews, implementation tests, organisation of lessons learned implementation.
③ Q 106 : Surveillance, Instrumentation, Monitoring and Data acquisition
(감시, 계측, 모니터링 및 데이터 수집)
○ Long term performance of existing surveillance systems including reliability and accuracy; importance of visual inspections.
○ New technology in dam and foundation instrumentation and monitoring.
○ Data acquisition and processing to evaluate the behavior of dams, predict and identify incidents.
○ Understanding and handling of large quantity of data,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approach
④ Q 107 : Dams and Climate Change (댐과 기후변화)
○ Impacts of climatic change on existing dams and reservoirs and remedies; case studies and costs.
○ Impacts of climatic change on needs and designs of dams, reservoirs and levees (water storage, floods mitigation, oceans raising).
○ Favourable impacts of dams on climatic change, including greenhouse gases reduction by optimization of hydroelectric production. Needs, potential and cost of energy pumped storage.
○ Unfavourable impacts of dams and reservoirs on climatic Change: evaluation of greenhouse gases emissions by reservoirs and dams construction.
□ 신규회원국 승인 : 우간다 (101번째 ICOLD 회원국)
□ 부총재 선출 (2019~2022)
○ Europe Zone (유럽존 부총재)
성명 국적 추천 주요활동
Enrique
Cifres
스페인 스페인
대댐회

- 기술분과위원회(U) 위원장
- 35년 이상 경력
- ICOLD 다수 참가 (1992~)

○ The 6th post (제6차 부총재)
성명 국적 추천 주요활동
Devendra
K Sharma
인 도 인 도
대댐회

- 인도대댐회 회장
- Chairman of Bhakra Beas Management Board,
Ministry of Power, Government of India
- 37년 이상 경력

□ 연차회의 관련 안건
○ 2020년 제88차 연차회의 준비사항 보고 (인도 뉴델리)
○ 2021년 제89차 연차회의 및 27차 총회 준비사항 보고 (프랑스 마르세유)
○ 2022년 제90차 연차회의 준비사항 보고 (이란 시라즈)
○ 2023년 제91차 연차회의 개최국 확정 (스웨덴 고텐부르크)
□ 기존 기술분과위원회 연장 (6개)
○ (F) : 2019-2022 / (I) : 2019-2022 / (K) : 2020-2023 / (S) : 2019-2022 / (Q) : 2019-2022 / (V) : 2019-2022
□ 기술분과위원회 Technical Report 제출 (5편)
T.C. Technical Report
L Tailings Dams Design
- Technology Update
J Sediment management in reservoirs : National Regulations and Case Studies
W Selection of Dam Type
D Management of Expansive Chemical Reactions in Concrete Dams & Hydroelectric Projects
T Challenges and Needs for Dams in the 21st Century

3기술동향 및 시사점 종합


□ 종합 기술동향 및 시사점
○ 최근 일련의 댐 사고(2017 오로빌 여수로, 2018 라오스 부댐, 2019 브라질 테일링댐)와 관련하여 ‘댐 안전’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확인
○ 댐의 안전에 관한 조사·평가 기술과 더불어 정책·제도적 측면에서 보다 적극적인 글로벌 동향을 분석하여 국내 댐 안전 기술 및 정책에 반영 필요
○ 해외사업 및 국내 댐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댐의 차세대 혁신 조사기술, 안전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분석 기술, 노후댐의 보수보강기술, 고급 수치해석 기술의 국제적 수준 기술력 축적 필요
○ 선진국 댐 안전 기술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위험도 정보제공에 의한 댐 안전성 평가(Risk-informed approach), 또는 확률론적 접근 방법에 대한 관심 환기와 적극적 연구가 절실
○ 댐 주변 공공안전에 대한 글로벌 관심의 확산, 관련 기술적 논의와 교육훈련이 활발하여 캐나다대댐회(CDA)와의 MOU 기반 한국형 가이드라인 마련을 통한 사회적 가치 창출 필요
○ 고도화된 해석 방법의 적용성 연구
→ 현재 국내에서는 획일화되고 결정론적인 방법의 댐 해석 수행, 해외에서는 다양한 수치적 해석 방법 적용성 검토 및 신뢰성 기반 해석 도입 추세
○ 댐 안전과 관련한 기존 노후화 댐의 조사, 점검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 추세에 부합한 실용성 높은 접목가능 혁신기술의 조기 도입 및 적용 시급
○ 4차산업혁명 시대 댐 안전관리 요소 기술의 적극적 연구 필요

4 주요성과


○ 집행위원회, APG 지역별 회의 등 참여 및 의결권 행사로 국제무대에서 한국대댐회의 위상 정립 기여
○ 주요 선진 기술들에 대한 정보 교환과 습득, 네트워킹을 통한 글로벌 공조 강화 지속 추진
○ 캐나다대댐회(CDA)와의 파트너쉽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실행함으로서, MOU(2018.07) 후속 활동의 일환으로 실효성 높은 Partnership 강화
○ MOU 후속과제 협의(USSD), 심포지엄 논문발표, 파트너세미나 등 실행으로, 글로벌 댐 안전관리 기술을 홍보하고, 국제무대 댐 기술 발전과 공유의 실천적 기반을 마련

5 활동사진

미국대댐회(USSD) MOU 후속과제 회의 (6/10)
기술분과위원회: 댐 내진설계 (6/11) 기술분과위원회: 댐 주변 공공안전 (6/11)
기술분과위원회: 홍수평가와 댐안전 (6/11) 기술분과위원회: 댐 유역관리 (6/11)
기술분과위원회: 역량강화와 댐 (6/11) Asia Pacific Group(APG) 회의 (6/11)
국제심포지엄 개회식 (6/12)
국제심포지엄 발표

- 신동훈 박사(K-water) (6/12)
국제심포지엄 발표

- 박주범 단장(K-water) (6/12)
국제심포지엄 발표

- 윤준한 차장(K-water) (6/12)
국제심포지엄 발표

- 박동순 박사(K-water) (6/12)
국제심포지엄 포스터발표

- 하재석 차장, 조봉구 대리 (시안공)
국제심포지엄 포스터발표

- 이상호 교수(부경대)
국제심포지엄 포스터발표

- 이백 박사, 최병한 박사 (농어촌연구원)
국제심포지엄 포스터발표

- 세종대, 시립대
국제심포지엄 포스터발표

- 세종대, 홍익대
국제심포지엄 포스터발표

- 전경수 교수(성균관대)
국제심포지엄 포스터발표

- 장석환 교수(대진대)
국제심포지엄 포스터발표

- 박주범 단장(K-water)
기술투어 : Chaudiere Falls (7/13)
기술투어 : Dufferin and High Falls (7/13)
KNCOLD&CDA 파트너세미나 발표

- 류민규 차장(K-water) (6/14)
KNCOLD&CDA 파트너세미나 발표

- 박동순 박사(K-water) (6/14)
제87차 ICOLD 집행위원회(General Assembly) (6/14)
Anton J. Schieiss (前 ICOLD 총재, 스위스) Jean-Pierre Tournier (ICOLD 부총재, 캐나다) L. Berga (前 ICOLD 총재, 스페인)
한국대표단 단체사진
참고1 한국대표단 명단
소속기간 참가자
환경부 1 박상수 주무관
K-water 8 김봉재 이 사, 김선욱 처장, 신동훈 박사,
박주범 단 장, 류민규 차장, 윤준한 차장,
박동순 박 사, 소인호 연구원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2 최병한 박사, 이 백 박사
한국남동발전 2 윤태학 부장, 이상한 대리
한국수력원자력 2 김창균 실장, 명문수 차장
한국시설안전공단 2 하재석 차장, 조봉구 대리
대진대 2 장석환 교수, 조준원 박사과정
서울시립대 2 문영일 교수, 최지혁 박사
성균관대 2 염경택 교수, 전경수 교수
부경대 1 이상호 교수
인하대 1 주홍준 연구원
계룡건설 1 구영재 소장
금호산업 1 김성배 소장
대림산업 3 이영대 상무, 최동남 소장, 이동현 부장
대우건설 1 채석준 팀장
현대건설 2 최 훈 부장, 이양재 팀장
SK건설 2 김종해 사장, 김성구 상무
한국대댐회 2 정의택 국장, 이다정 대리
37
참고2 수집자료
2019 ICOLD 논문집 & USB The La Grande Riviere Hydroelectric
Complex (The Environmental Challenge)
The La Grande Riviere Hydroelectric
Complex (Phase One Development)
ICOLD(국제대댐회) 제88차 연차회의
Initial Bulletin (인도대댐회)
ICOLD Newsletter
(Vol. 17, 2018. 11)
The International Journal on
Hydropower & Dams (ICOLD 2019)
(IHE DELFT)
Education and Training Guide 2019
캐나다대댐회(CDA) Bulletin
(Vol. 29, No. 4, Fall 2018)
캐나다대댐회(CDA) Bulletin
(Vol. 30, No. 1, Winter 2019)
캐나다대댐회(CDA) Bulletin
(Vol. 30, No. 2, Spring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