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대댐회

ICOLD 연차회의

2023년 제91차 스웨덴 연차회의

목록

1 출장개요

□ (행사명) 국제대댐회(ICOLD) 제91차 연차회의
□ (기 간) 2023. 6. 11(일) ~ 6. 15(목)
□ (장 소) Gothenburg, Sweden 스웨덴 예테보리
□ (참가자) ) 106개국 회원 중 78개국 / 대댐회 관계자 약 1,238명 참가
※ 한국대표단 : : 9개 기관 19명 참가
환경부(2), K-water(6), 인하대(1), 농어촌(2), 남동발전(3), 대저(1), DL E&C(1), 삼현BnE(1), 대댐회(2)
□ 주요일정

날 짜 시 간 주 요 일 정 비 고
6/9(금) 09:00 ~ 16:00 ICOLD 이사회 -
6/10(토) 09:00 ~ 12:30 ICOLD 이사회 스웨덴대댐회(SWEDCOLD) 워크숍①,
단기교육과정 ①, ②
시티투어(14:00)
12:30 ~ 16:00 ICOLD 기술분과위원회(T.C) 위원장 회의
16:00 ~ 18:00 ICOLD 이사회 -
6/11(일) 08:30 ~ 15:30 기술분과위원회(T.C)워크숍 - 기술전시개회식(12:45) 시티투어(14:00)
기술전시(12:00~20:30)
단기교육과정 ③ (09:00 ~ 15:30)
16:00 ~ 18:00 APG(Asia Pacific Group) 지역회의
19:00 ~ 20:30 환영만찬
6/12(월) 09:00 ~ 16:00 기술분과위원회(T.C) 회의 기술전시(종일)
15:00 ~ 15:30 캐나다대댐회(CDA)-한국대댐회(KNCOLD) MOU 체결식
17:00 ~ 19:00 YPF(Young Professionals Forum) 회의
19:00 ~ 22:00 미국대댐회(USSD) 주관 초청 리셉션
(USSD-KNCOLD MOU 체결식(19:30))
6/13(화) 08:20 한국대표단 단체사진촬영 (08:20) * 미팅장소: 행사장 입구 기술전시(종일)
08:30 ~ 08:45 심포지엄 개회식
08:45~11:50 기조연설 패널세션(여성멘토링) (13:00 ~ 14:00)
13:00 ~ 17:30 심포지엄 특별세션(14:15 ~ 15:00) (주제 : 최근 터키 지진사례(‘23. 2))
-
19:00 ~ 21:30 ‘문화의 밤‘ 행사
6/14(수) 08:00 ~ 12:30 심포지엄 - 기술투어(08:00 ~ 18:00) 기술전시(~14:00) YPF교류행사(점심) 한국대표단 만찬 (19:00)
단기교육과정 ④ (09:00 ~ 12:00)
13:00 ~ 17:00 스웨덴대댐회(SWEDCOLD) 워크숍 ②, ③
19:00 ~ 22:00 YPF(Young Professionals Forum)
6/15(목) 09:00 ~ 12:00 스웨덴대댐회(SWEDCOLD) 워크숍 ④, ⑤ 정기총회(General Assembly) (09:00 ~ 17:00) 기술투어(09:00 ~ 18:00)
13:00 ~ 17:00 스웨덴대댐회(SWEDCOLD) 워크숍 ⑥, ⑦
19:00 ~ 23:00 환송만찬

2 주요활동

제91차 정기총회 (6. 14)

각국 대댐회 회장의 연례회의로 국제대댐회(ICOLD) 주요안건* 의결
* ICOLD 예결산, 부총재 선출, 차기회의 개최 계획 논의 등

□ 일 시 : 2023. 6. 15(목) 09:00 ~ 17:00
□ 참가국 : 106개 회원국 중 약 78개국 대표 참석
*한국대표위원: 김현식 기획부회장(K-water 연구원장)
□ 신규 회원국 승인 (3개국)
。콩고, 르완다, 오만 회원국 가입 승인 의결
□ 부총재 선출 (2023. 6 ~ 2026. 6)

구분 후보자 국적 주요약력
아시아-태평양 Tetsuya Sumi 일본 -교토대학교 교수 (‘09~)
- 교토대학교 부학장(’14~‘20)
- 일본 건설부(MOC) 근무(’85~98)
- 댐엔지니어링 경력 30년 이상
- ICOLD 참가 다수
유 럽 Liza Bensassonn 그리스 -그리스대댐회 이사(’18~)
- ENM 엔지니어링 컨설팅사 수자원환경부문 이사(‘03~)
- 토목 분야 경력 30년 이상 -ICOLD 참가 다수

□ 사무총장 임기연장 (2023. 6 ~ 2026. 6)
구분 후보자 국적 주요약력
사무총장 Michel De Vivo 프랑스 -국제대댐회(ICOLD) 사무총장(2006년~)

□ 제28차 국제대댐회(ICOLD) 기술총회 Question 선정 (4개)
。New dams and reservoir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Safety of dams and dykes in a changing world
。Safety of dams and levees facing extreme events and climate change
。Earthquake performance and safety of large storage and hydropower
□ 기존 기술분과위원회 활동기간 연장 (11개 분과)
。(A) Computational Aspects of Analysis and Design of Dams : 2023~202
。(B) Seismic Aspects of Dam Design : 2023~2026
。(E) Embankment Dams : 2023~202
。(J) Sedimentation of Reservoirs : 2023~2026
。(K) Integrated Operation of Hydropower Stations and Reservoirs : 2023~2027
。(L) Tailings Dams and Waste Lagoons : 2023~202
。(M) Operation, Maintenance and Rehabilitation of dams : 2023~202
。(T) Prospective and New Challenges for Dams and Reservoir in the 21s Century : 2023~202
。(TRS) Tropical Residual Soils : 2023~202
。(V) Hydromechanical Equipments : 2023~202
。(Y) Climate Change : 2023~202
□ 기술분과위원회 Bulletin 발간 승인 (4건)
。(H) Dam Safety : Dam Breach Flood Consequence Assessmen
。(D) Concrete Dams : Ageing of Concrete Dams
。(T) Prospective and New Challenges for Dams and Reservoir in the 21 Century : Small Low-Risk Dams
。(S) Flood Evaluation and Dam Safety : Flood Risk Assessmen
□ 연차회의 관련 안건
。`24년 제92차 연차회의 (인도 뉴델리) : 준비사항 보고
。`25년 제28차 기술총회 및 제93차 연차회의 (중국 청두) : 준비사항보고
。`26년 제94차 연차회의 (이란 시라즈) : 준비사항 보고
。`27년 제95차 연차회의 개최지 후보 선정 : 멕시코

국제심포지엄 (6. 13 ~ 6. 14)

주 제: Management for Safe Dams 안전한 댐을 위한 관리방법
※ 한국 발표 : 한국대댐회는 총 5편의 발표 (구두 1편, 포스터 2편, 논문집 수록 2편)

□ (일 시) 6. 13(화) 08:00 ~ 17:30 / 6. 14(수) 08:00 ~ 12:30
□ (주제)Management for Safe Dams 안전한 댐을 위한 관리방법
1. Safe Management of Dams and Levees 댐 및 제방 안전관리
2. Surveillance and condition monitoring 감시 및 상태 모니터링
3. Analysis, modeling and decision making 분석, 모델링 및 의사결정
4. Rehabilitation and dam safety measures 재개발 및 댐 안전 대책
5. Climate & environmental adaption 기후 및 환경 적응
6. Innovation 혁신
□ (주요내용) 4차산업혁명 기술 기반의 스마트 댐 안전관리, 댐 및 하천디지털 트윈, 댐붕괴 예방을 위한 비상방류 시스템, 댐-습지 기능평가등

□ 주요 발표 내용
。노후된 댐의 구조적 개선을 통한 방법을 탈피하여, 디지털 기술 기반의비구조적 관리방안으로 혁신하기 위한 다양한 사례가 제시되었으며한국판 뉴딜사업인 스마트 댐 안전관리 기술을 통해 실시간 스마트 모니터링,드론 기반 안전점검, 인공지능 기반 손상분석, 안전성 시뮬레이션, 디지털트윈, AR/MR 기반 점검기술 등을 소개

。하천내 위험요소의 빠른 식별을 기반으로 수자원시설 운영 의사결정을지원하기 위해 댐 및 하천 디지털 트윈이 개발되어 기존 2차원 중심의하천수위 변화 관찰 개념에서 디지털 트윈 내에서 댐 방류에 따른하류지역 피해 여부 예측 및 지형여건 확인 등 다양한 기능에 대한 소개
。BIM 기반의 디지털 트윈 구축을 통해, 설계단계부터 건설완료까지전공정에 걸친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통합형 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사례, 관련시스템에는 공정관리, 품질관리, 안전관리, 설계도서, 건설 중 다양한이력에 대한 히스토리 등 실제 업무의 효율성 향상에 주안점을 두고 개발
。댐 및 제방의 안전관리를 위한 점검방법, 외형적 변위를 확인하기위한다양한 계측방법 및 데이터 분석방법,계측기기 형식별 데이터의 통합적활용방법, 업무효율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 적용 솔류션 등에 대한소개및 논의
。극한 홍수 대비 및 댐 시설물 안전성 저하 상황 발생시, 댐 제체 붕괴등의 재난 상황 예방을 위한 방류 시설물의 형식 및 운영 룰에 대한소개
。운영 및 관리 중인 댐의 위험도 평가 체계 수립을 위한, 현장조사, 계측시스템 및 데이터 분석 체계, 활용사례에 대한 고찰과 재난상황 발생시의사결정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프로세스 및 집단구성에 대한논의
。댐 및 부속시설 외, 급경사지 등 관리가 필요한 취약지역의 점검및조사, 주기적인 관측을 위한 업무체계 구축, 운영시스템의 구축을 통한시간 이력 기반 변화 관찰 모델링 등 소개
。기후변화에 따른 잦은 홍수 및 극심한 가뭄등에 대비할 수 있는 댐의기능 및 역할 강화를 위한 법적 기반 마련 및 사업의 다각화 필요성, 댐붕괴에 따른 사회적 영향 및 투자 전략에 대해 논의

시사점
。최근 발생한 댐 붕괴 사고로 댐 안전관리에 대한 관심과 해결책 마련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진행 중으로 구조적인 대책 보다는 비구조적인대책과 안전관리 및 위험도 평가를 위한 구체적인 프로세스 정립이 필요한상황으로 이를 고려한 국내 연구 및 기술개발의 필요성 확인
。댐 안전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국가별 여건을 고려한 가장기본이 되는 기준의 마련이 필요함에 따라 선진국의 관련기준을 조사하고분석하여 국내 기준의 합리적인 개선 도모 필요
。디지털 기술의 구축 후 활용시 업무효율성의 개선이 반드시 수반되어야하나, 늘어나는 데이터의 저장 및 관리를 위한 H/W 및 S/W의 업그레이드도 수반되어야 하며 도메인 지식의 가진 숙련되 기술자 외 데이터사이언스 전문가의 육성도 매우 중요
。국가별 기후변화 대응 및 노후댐 개선을 위해 다양한 노력이 진행중으로 시설물을 효율적으로 잘 사용할 수 있도록 국가간 정보 공유 및소통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

기술분과위원회 (6. 11 ~ 6. 12)

기술분과회의 위원 참여 및 주제토론, 기타 관심 위원회 참관,주제별 국내 현황 소개 등

□ 댐 설계 및 해석(A) : 이백 박사 (KRC 농어촌연구원)

[개 요]
。(일시) 2023.06.12. 09:00-13:00
。(장소) 스웨덴 예테보리, Swedish Exhibition Centre (Room G2)
。(위원장) Guido MAZZA (이태리) (부위원장) Gerald ZENZ (오스트리아)
。(참석자) 국가별 위원 및 Observer 포함 26명(7명 화상 참여)

[주요 논의 내용]
。현재 진행 중인 위원회 안건에 대한 소개 및 논의
- 2023년 스웨덴 국제대댐회 위원회 회의 소개
- 댐 설계 및 수치해석 위원회 회원 현황 소개
。16회 Benchmark Workshop(2022년 6월 11일 슬로베니아)에서 논의된기술보고서를 콘크리트댐과 필댐으로 분리를 결정 합의
。2024년 9월에 17회 Benchmark Workshop을 불가리아 소피아에서진행승인
- 안건은 130m의 제고를 가진 Tsankvo Kanak dam이 보통의 운영중에 받는 지진하중 검토

시사점
。댐 설계 및 해석 위원회는 Benchmark Workshop을 통해서 다양한해석방법의 기준을 단독 또는 공동 기술보고서로 제시하여 댐설계 프로그램들에서 활용 지원함


□ 댐 안전(H) : 신동훈 박사 (K-water)

개요
。(일 시) 2023.06.12. 08:00 - 17:00
。(장 소) 스웨덴 예테보리, Swedish Exhibition Centre (Room H1
。(위원장) Zeping Xu (중국)

주요 논의 내용
。“댐 안전 가이드라인”에 관한 Bulletin 3과 4 준비 현황 보고 및 논의
- Bulletin 3: Owner’s Governance and Organizational Arrangements (Des Hartfod, 캐나다) → 댐 소유자에게 댐 안전관리에 관한정책및 조직운영 측면 이해 증진
- Bulletin 4: Owner’s Dam Safety Activities (Ronin Charlwood, 미국) →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댐안전관리를 기술 실무 제공
* Bulletin 1과 2는 각각 “Bulletin 191: Dam Safety Concepts, Principles and Framework”과 “Bulletin 192: Dam Safety Governance Considerations”으로 2021년 발간됨.

。신규 Bulletin 작성 계획 발표 및 논의
- 발표: Dr. Suzanne Lacasse (노르웨이)
- 주제: 댐 안전관리를 위한 위험도 평가 (Risk Assessment in Dam Safety Managemen
- 내용: Bulletin 관심 대상자 그룹, 목적 및 목차(안), Working Group 구성(안), 추진 일정 등 소개 → 댐 소유자 및 관리자, 컨설턴트 및 댐안전 담당 정부 관리자 등 댐 안전관리 실무자들이 댐 안전관리를 하는데 필요한 위험도 평가 방법에 대한 이해 증진 및 활용성 강화를위한 안내서 제공이 주목적

(Working Title)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for Dams
1. Introduction
2.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general and short)
3. Risk assessment approach for dams
4. Tools for risk assessment-Analysis methods
a) Likelihood of a breach
b) Examples of risk assessment for dams (likelihood of breach and consequences)
5. Risk evaluation, risk assessment, risk communication
6. Annexes
A. Additional information
B. Reference material

시사점
。국내의 댐 안전관리에 관한 관련 규정 전면 개정 추진 시급
* 현재 국내 댐 안전관리 규정은「댐건설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과 「한국수자원공사법」에 따른 “댐관리규정”이 있으나 국가차원의 규정 부재
。댐 안전관리 고도화를 위하여 위험도 평가 기반의 댐 안전관리 기술개발에 관한 대댐회 차원의 공론화 및 ICOLD내 관련 전문가 또는 전문기관과의 교류 확대 추진 필요
[댐안전 기술위원회]

□댐 주변 공공안전(I) : 신동훈 박사 (K-water)

[개 요]
。(일 시) 2023.06.12. 08:00 - 17:00
。(장 소) 스웨덴 예테보리, Swedish Exhibition Centre (Room R31)
。(위원장) Tonny Bennett (캐나다), (부위원장) Peter Lilley (뉴질랜드)

[주요 논의 내용]
。댐주변 공공안전 체계 도입 및 최근 사례 공유
- 미국(S. Roach), 캐나다(T. Bennett & D. Bonin), 일본(H. Sasahara), 말레이시아(S.Rashidi), 스웨덴(A. Engstrom Meyer), 브라질(V.H. Morais) 등이 발표
。댐주변 공공안전에 관한 Bulletin 시리즈 (B1~B4) 준비 현황 발표 및논의
- B1: Public Safety Principles(P. Lilley, 뉴질랜드), B2: Public Safety Assessment, B3: Technical Applications(AM Ruud, 네덜란드), B4: Incident Management(T. Bennett, 캐나다)

[시사점]
。댐 시설 주변에서의 인명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등 국가주요 인프라시설 관리 주체로서의 책임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댐주변 공공안전에 관한 기술 및 제도 마련을위한 대댐회 차원의 노력 필요
。댐 주변에서의 다종다양한 사고 사례에 대한 기록과 관련 자료의 ICOLD 내 공유 등을 통한 한국대댐회 위상 제고 필요
。캐나다대댐회(CDA)와의 MOU 갱신 후 세부 활동 항목으로 “댐 주변공공안전” 분야 추가 필요
[댐주변 공공안전 기술위원회]

□댐 주변 공공안전(I) : 신동훈 박사 (K-water)
1. Workshop

[개요]
。(일시) 2023.06.11. 08:00~10:00
。(장소) 스웨덴 예테보리, Swedish Exhibition Centre (Room H1)
。(위원장) D.Johnson (미국) / (부위원장) P.D.Pyke (남아프리카)
。(참석자) 국가별 위원 및 Observer 포함 40여명

[주요 논의 내용]
。댐 유지관리.재개발 분과가 검토중인 ‘운영 중인 댐의 재개발을 위해 요구되는 기술`과 관련한 Bulletin Update(E.Baldovin) 계획 설명
- Ch.5 Embankment Dams, Ch.9 Rehabilitation Case 등에 대해 브리핑
。스위스, 미국,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의 국가별 케이스 공유 및 토의
- ①Nant de Drance Hydropower Plant(R.Leroy, SWISS), ②Strontia Spring Dam(S.Korab, USA), ③OLAI and CIMIA Dams(L.Serra, Italy), ④Arbo Dam(I.Reviriego, Spain), ⑤Lichtenberg Dam(H.Haufe, Germany) 사례소개
- 운영중인 댐의 재개발의 경우 댐 수위의 변화, 제체와 설비 등의 안정성 확보, 수중조사 및 공사의 신뢰성 등의 문제에 대한 심도 깊은 검토요구

[시사점]
。운영중인 댐의 재개발 사업의 기술적 핵심은 수중작업(조사 및 시공)의 신뢰성에 있기에 글로벌 동향을 분석하여 국내 댐 기술 및 정책에 반영필요

Bulletin Update 브리핑

Case Histories : Lichtenberg Dam

2. 기술위원회 미팅

[개요]
。(일시) 2023.06.12. 08:00~17:00
。(장소) 스웨덴 예테보리, Swedish Exhibition Centre (Room R23)
。(위원장) D.Johnson (미국) / (부위원장) P.D.Pyke (남아프리카)
。(참석자) 국가별 위원 및 Observer 포함 20여명 (3명 화상 참여)

[주요 논의 내용]
。분과위원회 새 집행부 및 신규 위원(K-water/KNCOLD 김도균)
- 신임 위원장 F.Fornari(이탈리아), 부위원장 C. Goff(영국), 신규 위원3인
。Bulletin Updat
- 댐 재개발 조사.건설에 대한 워크숍 내용(Case Histories)의 Bulletin 반영①
- Bulletin 178의 발간 및 웹 게시 (* 위원 국가별 번역본 공유 필요) → ①,② 사항에 대해 분과 위원을 워킹그룹으로 나누어 검토
。튀르키예 지진 후 댐 조사 및 보수 현황 공유(Cem Aker, 튀르키예)
。India Dam Safety Act 2021에 대한 라운드테이블 논의 ※ 소양강댐 운영 50년 및 리노베이션 추진현황 브리핑(K-water 김도균)

[시사점]
。운영중인 댐의 재개발 사업 시 안정적 저수지 운영(위험관리)와 지진등 재난 대응을 위해서는 용수공급의 예방적 대안(구조 or 비구조) 마련필요
。댐 유지관리.재개발 분과 Bulletin Update 시 국내 사례.성과 반영필요

기술위원회 M분과 미팅

튀르키예 사례 공유

소양강댐 브리핑

□ 댐 주변 공공안전(I) : 신동훈 박사 (K-water)

[개요]
。(일 시) 2023.06.12. 10:00
。(장 소) 스웨덴 예테보리, Swedish Exhibition Centre (Room R18)
。(위원장) Membrillera Ortuno Manuel (스페인)
。(참석자) 국가별 위원 및 Observer 포함 40명(3명 화상 참여)

[주요 논의 내용]
。위원회 회원 외 다양한 국제전문가 참여를 위한 Linkedln 활용하자 (600여명 가능)
。워크샵과 관련회의 동영상으로 만들어 Youtube 채널을 활용하자
。2024년까지 저수지(댐) Surveillance Bulletin 완성
- 위원들의 적극적인 참여 필요, 특히 Dam Owner 기관 소속 지원 요청
。2024년 위원장 선출
。기타 각국 저수지(댐) 안전 모니터링 기술 및 관련 지침 소개

[시사점]
。현재 수급된 저수지(댐) 자료는 유럽 및 캐나다 위주 자료임
- 아시아권, 아프리카권 등의 참여 매우 저조
。위원장(Manuel 교수) 역량으로 위원들의 협조 및 회의 참석률이 매우우수

□ 댐유역 기술분과위원회(U) : 김형수 교수 (인하대학교)

[개요]
。(일 시) 2023.06.12. 08:00
- 14:00
。(장 소) 스웨덴 예테보리, Swedish Exhibition Centre (Room R34)
。(위원장) G. Troncoso (칠레) / (부위원장) J. Wolfhope (미국)
。(참석자) 국가별 위원 및 Observer 포함 11명(3명 화상 참여) 참석
- G. Troncoso(칠레), J. Wolfhope(미국), P.R.M. Sianipar(인도네시아), L. Bensasson(그리스), H. Lohr(독일), C. Bassa (모잠비크), R. Ivanco(슬로바키아), E. Cifres(스페인), M Sadeghian(이란), S. Sen(인도), H. S. Kim(한국)

[주요 논의 내용]
。Definition of Integrated River Basin Management/Rio 1992
。Presentations of Case studies
- 미국: 허리케인으로 인한 푸에르토리코 홍수에 대한 분석(허리케인 ’피오나‘, 2022년) * 댐유무에 따른 댐의 편익 계산 (비홍수조절댐들임) * 하류 홍수발생전 상류 소유역에서 홍수량 처리와 제방 문제 제기
- 스페인 : 댐 철거에 대한 내용 (사회적 이슈와 정치적인 문제)
- 슬로바키아 : 댐 계획의 국가 정책과 과정 * 댐 건설 계획과 준비를 위한 새로운 건설 법 제정 노력(환경, 대중 참여) * 댐 위험관리 : 기술적 안전 확보 노력
- 모잠비크 : 모잠비크, 잠비아, 짐바브웨이의 세 국가에 걸쳐 있는 유역관리를 위한 자료 공유 및 댐 운영을 위한 협력과 노력의 과정을 설명

[시사점]
。통합하천유역관리에 대한 정의 : 댐 안전과 유역 측면에서 요소들 도출
。환경과 개발에 관한 리우 선언 정리 (1992년 6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로)
。각 국의 Best Practices 공유와 거버넌스, 이해당사자 문제 논의 통한 결과 도출필요
。댐 및 하천유역관리를 정리하기 위해 각 분야에 대한 Case studies 공유와 정리필요
。2024년 10월 인도 ICOLD 대비하기 위해 2달마다 회의를 하고 Casstudies 공유, draft 준비, 다른 기술위원회와 소통 문제 논의하기로 함

□ 세계 댐 등록(O) : 김현식 원장, 김성훈 센터장 (K-water연구원)

[개요]
。(일 시) 2023.06.29. 08:30-12:00
。(장 소) 스웨덴 예테보리, Swedish Exhibition Centre (Room R12)
。(위원장) Patrick LE DELLIOU (프랑스)
。(참석자) 국가별 위원 및 Observer 포함 15명(5명 화상 참여)

[주요 논의 내용]
。KNCOLD 위원(김현식) 자격으로 참석 및 다목적댐, 용수댐, 발전댐및 대형 농업용 저수지 자료 현행화에 따른 사안 설명
- 대형 농업용 저수지 자료 현행화에 따른 사안 설명 경우에는 북한지역 공식자료 확보에는 어려움이 있어 남한 부분만등록 경우에는 북한지역 공식자료 확보에는 어려움이 있어 남한 부분만등록
- (주변 비회원국 연계 현황) 프랑스의 경우, 기존의 아프리카 지역현황 자료 추가 수집. 일본의 경우는 인도네시아 등과의 접촉 성과
- (‘23년도 현황) ICOLD 회원국 60,832건(99%), 비회원국 709건(1%) 비중\
。댐 등록 관련 방법론과 목록 리스트 등 추가, 변경 건 위원간 토론 및의결
- (웹사이트 개선 및 활용) ICOLD내 업데이트된 리스트에 따라 등록 후활용
- (댐 데이터 수집) 보다 정확하고 효율성 높은 자료 활용을 위해 georeferencing을 강조. 현재 약 65%의 댐이 좌표 정보를 갖추고 있으며 (전년대비 약4%p 증가) 이를 보다 확충할 필요성이 있고 현재 댐 데이터 QI(Quality Index)의 관리 및 중복자료 정비 등이 필요
- (데이터 공유 확대) 위원국(프랑스)에서 신규로 Wikipedia 링크를 활용하여 댐 등록자료를 공유. 현 등록된 전체 댐의 1/6에 수준인 약 1만건 대상
- (이슈사항) 댐 등록자료에 있어서 홍수조절용량(Volume of Flood Control)의 중요성이 큼. 이를 위한 컨센서스가 필요한 부분. 한국, 일본의 경우에는 발전용 댐의 경우, 최초 등록(명시)된 홍수조절용량이 없을 경우에탄력적 운영에 의한 가변적 홍수조절용량만이 존재할 뿐이므로 공식적으로는 홍수조절용량이 없는 것으로 표기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의견 제시

[시사점]
。댐 등록의 성과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ICOLD회원 뿐만 아니라 인근 비회원국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접촉(정부, 학계, 기관, 업계 등)이 요구
。또한, 효과적인 자료 활용을 해서는 지리정보와의 연계확대, 자료의이상치 및 중복의 효율적 제거 방안, 홍수조절용량과 같은 국가별 의견 상충등의 이슈 조정 등이 필요하므로 국가별 위원회 차원의 영속적(permanent) 접촉이 유지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
。등록된 세계 댐의 건설 완료시기는 1970년대가 13,500건(약 22%) 이상으로 최빈수를 차지하여, 한국과 마찬가지로 40년 이상 노후도가 큰 댐이다수

Asia-Pacific Group(APG) 회의 (6. 11)

9개국 발표, 각 국의 활동 사항 공유, 주요행사개최 보고, 의장 제안 안건 및 기타 안건 토의


□ 개요
。(의장국) 인도대댐회(INCOLD)
。(참가국) 호주, 중국, 인도네시아, 인도, 이란,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필리핀 총 9개국 참가
。(내 용)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의 최근 활동 사항 공유, 각 국 컨퍼런스 및 심포지엄 홍보, 의장국 제시 주제로 ’물 안보 및 에너지 전환을 위한 댐의역할 (Role of Dams for Water Security and Energy Transition)’ 관련 내용 발표

□ 한국대댐회 발표 (신동훈 국제협력위원)
。2022년 주요 활동 내용
- 제11차 동아시아댐기술교류회의(EADC) 개최 성과 공유
- KNCOLD 50주년 기념 토론회 개최 결과 공유
。국내 댐 현황, 기후변화 대응, 노후댐 개선 사업, 디지털트윈(DT) 국내 댐 기술 홍보 등

□ 시사점
。지역내 발전댐 신설 증가, 신재생(태양광 등) 확대추세 및 중국 등 양수발전주력
。홍수·가뭄대응 위한 지속성과 회복탄력성(resilence)고려 유역단위 체계도입

On-Site 국제협력 회의 (6. 11~15)

중국대댐회 및 일본대댐회와 주요 행사 참가, 기술교류·협력 강화 및 향후 발전 방안 등에 관해 논의


□ 중국대댐회-한국대댐회
。2025년에 중국 청두에서 개최되는 ICOLD 제28차 기술총회 및 제93차 연차회의에서의 양국 대댐회 참여 및 협력 방안
。중국대댐회, 스페인대댐회 및 일본대댐회가 공동개최하는 제9차 RCC댐 및 CMD댐 국제 심포지엄(‘23. 12.5-6. 중국 광저우)에 참여 방안
。중국대댐회 2024년 부총재 후보(Dr.Chen Guanfu) 지지 요청
。AI, 드론 및 디지털트윈 플랫폼 활용 댐안전 기술 관련 양 기관 협력방안

□ 일본대댐회-한국대댐회
。2024년 6월에 나고야에서 개최되는 제12차 동아시아댐기술교류회의(EADC) 적극 참여 및 로고 사용 협조 요청
。일본대댐회 2023년 ICOLD부총재 후보(Tetsuya SUMI 교수) 지지 요청

기술견학 (6. 13)

기술견학 3개 개설 코스 중 한국대표단은 총 2개 코스 참여
※ Lilla Edet | Trollhat an-Locks / Flood Protection Gothenburg

□ Lilla Edet | Trollhat an-Locks
개요 기술적 내용연수(약 100년)에 도달한 댐 재개발 현장(2곳) 답사
- (Lilla Ede)현재 2체절 방식으로 7m 높이의 수력발전용 댐 재개발사업을 추진중이며, 우안부를 先 착수해구조물 해체방수로 신설 공사 중
- (Trollhat an-Lock)100년 이상이 된수력발전용 보(Weir)이자주운수로로서 저수지 일원이 관광지로 개발됨에 따라 대체 시설.설비 신설을 계획중

조감도 공정계획 시설계획 현장여건
Lilla Edet Trollhattan-Locks
[기술위원회 M분과 미팅]
(시사점) 사전 충분한 정밀조사를 통한 기술적 내용연수의 판단으로 대체 수리구조물 계획 및 건설 추진 중 ☞ 노후.취약 댐 시설 재개발시급

□ Flood protection Gothenburg (예테보리 홍수예방)
。예테보리는 스웨덴 서해안을 따라 위치하고 있으며, 괴타강(Gota river)이 흐르고 있어 해수면 상승과 극심한 강의 흐름으로 인해 홍수가발생하기 쉽다.
。2100년까지 해수면이 1m 상승할 것에 대비하고 있으며, 괴타강폭우로 인한 홍수 이벤트도 증가하고 있다. 도시가 습지 위에서 확장되었기 때문에, 침하 또한 이 지역의 또 다른 주요 문제이다.
스웨덴에서 예테보리 위치와 Vanern호수와 Gota강 수문현황

。괴타강은 스웨덴에서 가장 큰 바른(Vanern)호수를 끼고 있으며, 4개의 수력발전소를 통해 강으로 유입된다. 예테보리 상류에 위치한 댐들은 예테보리 지역의 홍수 위험을 관리하고 주변 지역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들 댐은 홍수 예측 및 감지 시스템과 연동되어 홍수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효율적인 홍수조절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댐 소유자들(수력공사, Vattenfal) 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다.
스웨덴에서 예테보리 위치와 Vanern호수와 Gota강 수문현황
유람선 승선 유람선 투어

。예테보리의 도시계획청(City Planning Authority) 또한 이상기후에 따른 홍수를 효율적으로 막기 위해 2070년까지 하구둑을 건설할 계획이다. 해수면 상승이 발생하면 북해의 물이 고타강을 통해 도시로 유입 되어 예테보리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시는 홍수 등 하천 수위 상승의 영향을 막기 위해 위험을 줄이기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
。도시계획청(CPA)은 강의 수위 상승 위협과 더 많은 비(예테보리는 1년에 152일 비가 온다)가 오면 런던의 템스강의 장벽과 같은 보호벽을 세우는 것이 도시의 홍수를 막는 한 가지 방법이라고 말했다.
。결국은 우리나라 하국둑과 같은 시설을 설치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영향을 저감하며, 댐을 통해 강우유출로 인한 홍수를 저감 하며, 하천변에 홍수방어벽을 설치하여 각각의 시설물 관리 기관들이 협력하여 대처하겠다는 장기계획을 수립하였다.

YPF 포럼 (6. 12)

국제대댐회(ICOLD) 40세 이하 젊은 댐 전문가 네트워킹 행사로, 회원국 간 댐 주요 이슈, 경험, 사례 등 공유


□ (참여현황) KNCOLD-JEF 위원장(김도균 부장, K-water) YPF 미팅 참여 * [미팅 주요내용] ‘22년 활동내용, 임원(공석) 추가 선출, 이슈별 그룹 토의 등
□ (참여내용) 이슈별 그룹 토의 시댐 운영.유지관리 그룹에 참여소양강댐 이슈(댐 안전성 강화 등 리노베인션 사업)와 경험 공유 * 임원 추가 선출 시 40세 이하만 투표권이 주어져 참여 불가
□ (향후과제) YPF YPF에 정례적 참여 필요시 ①APG(아시아태평양그룹) 그룹 내리더로서의 활동(YPF 집행부 참여)과 ②젊은 엔지니어(30대)선출·참여 필요

기술동향 및 시사점 종합

□ 종합 기술동향 및 시사점
(심포지움) 댐 안전관리라는 주제로 안전관리, 분석 모델링 의사결정, 복구 및 안전조치 및 기후 환경대응에 대해 논의
- 댐 안전관리에 비구조적인 대책과 구체적인 프로세스 정립이 필요하며, 기후변화 대응 및 노후 댐 개선을 위해 국가간 정보 공유 및 소통 필요
(기술분과위원회)총 28개 분과 중 댐 안전 등 7개 분과에 직접 참여
- (댐 안전관리) 필요한 위험도 평가방법에 대한 안내서 작성
- (댐주변 공공안전) 다양한 사고 사례 공유와 협력, 캐나다대댐회(CDA)와 MOU를 통한 교류를 통해 국내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등에 대응
- (댐 유지관리·재개발분과) 재개발 중 안정적 저수지운영, 용수공급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그 외 큰 틀(댐 주변 지역발전 등)에서 동향파악이 필요
- (댐 유역) 유역통합관리 정의, 환경과 개발 정리, 이해 당사자 문제 논의 등에 대한 결과는 우리나라의 중요 관심사항임
- (세계 댐 등록) 건설완료시기는 1970년대가 약 22%로 최빈수를 차지, 한국과 마찬가지로 노후도가 큰 댐이 다수로 재개발이 큰 이슈로 등장
- (댐 설계 및 해석) 다양한 해석방법의 기준을 기술보고서로 제시하여 댐 다양한 해석방법의 기준을 기술보고서로 제시하여 댐
。APG 지역은 발전 댐(중국 양수댐 주력), 태양광이 확대추세이고 홍수 가뭄에 대응하기 위한 유역 단위 계획수립 도입 -(중국) 한국의 AI, 드론 활용 등 첨단 댐 안전 기술 관련 협력 기대 -(일 본) 노후 댐 재개발 경험 공유 필요
(기술투어) 2100년 해수면 1m 상승과 홍수에 대비한 예테보리 방어계획을 수립 중으로 하구둑, 도시 방벽 설치와 상류 4개 댐 운영이며, 도심 소하천에 설치된 보는 4대강 사업 축소판으로 국내도입 및 환경대응 논리 활용을 위한 검토 필요

3주요성과


정기총회, APG 지역별 회의 등 참여 및 의결권 행사로 국제무대에서 한국대댐회의 위상 정립 기여
- 정기총회 : 국제대댐회(ICOLD) 주요안건 표결행사 (김현식 기획부회장)
- APG 지역회의 : 한국대댐회(KNCOLD) 주요 성과 및 국내 댐 현황 및 기술(디지털 트윈 등) 공유 (신동훈 국제협력위원)
주요 선진 기술들에 대한 정보 교환과 습득, 네트워킹을 통한 글로벌 공조 강화 지속 추진
미국, 캐나다 MOU 재체결 및 후속 국제협력 방안 논의
- 캐나다대댐회(CDA) : 기존 협력 사안인 댐 주변 공공안전 가이드라인 개발을 돕고, 디지털 전환 기술의 댐 접목 등 기술 교류 강화
- 미국대댐회(USSD) : 소양강댐 50주년 기념행사 연사 초청(한국→미국), 2024년 USSD 컨퍼런스 초청(미국→한국) 등 상호 교류로 국제협력 재개, 실행력 있는 협력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 논의, 실무 Working Group 구성 합의 등
KNCOLD-JEF의 ICOLD-YPF 등 국제무대 참여 기회 확대
- 국제대댐회(ICOLD) YPF 포럼 참가 등을 통한 각 국 젊은 댐 기술자 간 네트워킹, 소양강댐 이슈 (댐 안전성 강화 등 리노베이션 사업)과 경험 공유
소양강댐 운영 50주년 성과 홍보
- ICOLD 기술분과위원회, APG 지역회의, YPF 그룹미팅 등 소양강댐 홍보영상 및 리플렛 배포
스마트댐 안전관리 등 국내 댐 기술 및 성과 홍보
- ICOLD 기술분과위원회, APG 지역회의, 미국·캐나다 MOU 체결식 등 스마트댐 안전관리 홍보영상 및 리플렛 배포

4종합의견

□ 한국대댐회 활성화 및 체계적인 ICOLD 참여 필요
(양적 참여 미흡) 한국은 ICOLD 등록 댐수 기준, 세계 6위권의 수자원 확보국이나 회장 부재, 댐사업 부진으로 양적참여(일본 60명)는 미흡, 금회 참여자 자질 및 노력으로 만회
- ICOLD는 댐 기술 분야 최고의 집단지성의 장으로, 국제적인 기술의 best practice 제정, 신기술의 공유 등 활용가치 대단히 높음 ※미국대댐회(USSD), 캐나다대댐회(CDA), 호주대댐회(ANCOLD) 등은 매년 연례적인 자체 기술 컨퍼런스를 매우 활발히 진행
- ICOLD 연차회의및Congress 제출논문편수는(’22년2편)과비교하여다소상향(’23년5편)
- 댐기술의 글로벌 best practice 선도는 ICOLD 기술위원회에서 담당하고 있으나, 한국대댐회의 기술위원회 직접 참여율(6/23)은 다소 저조
(국제협력 수요증대) 노후댐 재개발 경험과 기술적 난제 해소 필요
- 증가하는 노후댐의 체계적인 재개발을 위한 경험과 기술을 벤치마킹, 우리 실정에 맞는개발방안 수립, 수자원사업의 새로운 모멘텀 마련 (MOU 체결) 미국대댐회, 캐나다대댐회와의 MOU는 향후 Working Group 미팅을 통한 실행력 있는 프로그램의 추진을 담보로 체결
- Group 미팅을 통한 실행력 있는 프로그램의 추진을 담보로 체결
□ 한국대댐회 활성화를 위한 제언
(MOU 실행력 제고) 실행력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가치 공유
(ICOLD 참여 제고) 글로벌 파트너쉽의 증대를 통한 국내 댐 시장 활성화를 위해 ICOLD 연차회의 및 Congress 참여 질적성장 도모
- 대댐 수 규모에 걸맞은 심포지엄 및 Congress 논문제출 참여 추진
- 기술분과위원회(T.C) 한국대표를 실제 참여가 가능한 인원으로 교체 및 Bulletin 작업에도 참여 노력
(국내 활동 강화 및 제도 정비)
- ICOLD 댐 기술교류 결과 공유와 확산을 위한 국내 활동 강화
- 노후댐 재개발 등 핵심 ICOLD 기술분과위원회 및 MOU 이행을 위한 국내 기술전문가 참여 활동을 위한 예산확보 및 지원 필요

붙임 12023년 한국대표단 명단

소속 성명 및 직위 비고
환경부 2 김다은 사무관
(수자원정책과)
댐안전기술 국제동향 파악
민지혜 주무관
(수자원정책과)
댐안전기술 국제동향 파악
K-water 연구원 6 김현식 연구원장
(KNCOLD 기획부회장)
한국대표단 대표
총회 의결권 행사
이종정 연구관리부장 MOU 및 국제동향파악
김성훈 센터장 K-water AI기술 홍보
신동훈 연구위원 APG 발표, MOU 진행,
TC 참여
수자원시설처 윤국희 차장 심포지엄 구두 발표
소양강댐지사 김도균 부장 댐재개발 분과 TC 참여
한국농어촌공사 2 최병한 수석연구원 심포지엄 포스터 발표
이 백 전임연구원 심포지엄 포스터 발표
한국농어촌공사 3 김형석 부장
(영흥발전본부)
수력발전기술 동향파악
박선훈 차장 (건설처) 수력발전기술 동향파악
김태준 대리
(해외사업처)
수력발전기술 동향파악
삼현 BnE 1 최동남 사장 심포지엄 및 기술전시 참관
대저건설 1 이영대 부사장 심포지엄 및 기술전시 참관
DL E&C 1 장동일 차장 심포지엄 및 기술전시 참관
인하대학교 1 김형수 교수 심포지엄 및 기술전시 참관
인하대학교 2 강기호 사무국장 한국대표단 참가 행정 총괄
이아름 대리 한국대표단 참가 행정 실무
합계 19

붙임 2사진대지

한국대표단

정기총회

국제심포지엄

APG 지역회의

기술견학

YPF 포럼

USSD-KNCOLD MOU 체결식

CDA-KNCOLD MOU 체결식

CHINCOLD 면담

기술전시 개회식

환영·환송만찬

USSD 초청만찬

문화행사

붙임 3접촉인사

붙임 4수집자료

□ 차기 국제대댐회(ICOLD) 연차회의 개최 (2024~2026)
□ 회원국 주관 행사/주요성과 홍보물
□ 기타 댐 기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