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출장개요
□ 출장지 : 중국 청두 (Cheng du, China)
□ 출장기간 : 2025년 5월 16일(금) ~ 5월 23일(금)
□ 참 가 자 : 106개국 회원 중 64개국, 대댐회 관계자 약 1,600명 참석
※ 한국대표단(39명) : 환경부, 대전시, 대전광광공사, K-water, 농어촌공사, 국토안전관리원, 남동발전, 학계 등
주요내용
주요 프로그램 | 참석대상 |
---|---|
Short Courses단기교육과정 | 관심회원(추가비용 有, 사전등록 필수) |
Technical Committee Workshop&Meeting기술분과위원회 워크숍·회의 | 기술분과위원회 위원 및 관심회원일부 기술분과위원회 비공개 회의진행 |
Regional Club MeetingICOLD 지역회의 | 해당 지역의 대댐회 대표(KNCOLD → APG(Asia Pacific Group) 회의 참가) |
Symposium국제심포지엄 | 주관국가 대댐회에서 논문 심 사위원회를 통해 선발된 논문 발표자 및 관심회원 |
Technical Tou기술투어 | 관심회원(추가비용 有, 사전등록 필수) |
General Assembly정기총회 | 각국 대댐회 대표 |
Congress기술총회 | ICOLD 기술위원회 및 조직위 원회에서 선발된 논문 발표자 및 관심회원 |
□ 주제- (심포지엄) Common Challenges, Shared Future, Better Dams
No. | 세부주제 |
---|---|
1 | Precautionary management of dams and river basin under climate change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댐 및 하천 유역의 예방적 관리 |
2 | Multifunctional development of dams and reservoirs댐 및 저수지의 다목적 개발 |
3 | Technologies for dam construction under complex (extreme) condition복잡한(극한) 환경에서의 댐 건설 기술 |
4 | Digital technology applied in dams and digital river basins댐 및 디지털 하천 유역에 적용되는 디지털 기술 |
5 | The role of dams in achieving the goal of reducing carbon dioxide emissions탄소 배출 저감 목표 달성을 위한 댐의 역할 |
- (기술총회) 의제 ※3년마다 개최(연차회의 심포지엄과 별개)
Q 108.Dams and reservoir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기후 변화 적응을 위한 댐 및 저수지 Q 109. Dams and levees fit for the future 미래를 위한 댐 및 제방 Q 110. Safety of dams and levees facing extreme hydrological events 극한 수문 현상에 대응한 댐 및 제방의 안전성 Q 111. Earthquake performance and safety of dams 댐의 지진 성능 및 안전성3. 전체일정(요약)
일정 | 오전 | 오후 | 저녁 |
---|---|---|---|
5/16(금) | · ICOLD 이사회· 단기교육과정 | · ICOLD T.C 위원장 회의· 단기교육과정· 씨티투어 | |
5/17(토) | · 기술분과위원회(T.C) 워크숍· 단기교육과정 | · ICOLD T.C 위원장 회의· 단기교육과정· 씨티투어 | |
5/18(일) | · 기술분과위원회(T.C) 회의· CHINCOLD 워크숍 | · 기술분과위원회(T.C) 회의· 젊은 기술인 포럼(YPF)· APG(Asia-Pacific Group) 회의· CHINCOLD 워크숍 | · YPF만찬 |
5/19(월) | · 국제심포지엄 및 기술전시 개회식 | · 국제심포지엄· 기술전시 | · 환영만찬 |
5/20(화) | · 국제심포지엄· 기술투어· ICOLD 정기총회· CHINCOLD 워크숍· 기술전시 | · 국제심포지엄· 기술투어· ICOLD 정기총회· CHINCOLD 워크숍· 기술전시 | · 문화행사 |
5/21(수) | · 제28차 총회 개회식· 총회 의제발표 Question 108~109· 기술전시 | · 총회 의제발표 Question 108~109· 기술전시 | |
5/22(목) | · 총회 의제발표 Question 108~109· 기술전시 | · 총회 의제발표 Question 110~111기술전시 | |
5/23(금) | · 총회 의제발표 Question 110~111· 기술전시 | · 총회 의제발표 Question 110~111폐회식 | · 환송만찬 |
Ⅱ 주요내용
1. 기술위원회(T/C) 워크숍 및 회의
○ 댐 안전, 댐 지진, 제방 기술위원회 등 3개 분과에 참석 및 기술교류
* 총 28개 ICOLD 기술분과위원회 중 한국대댐회는 17개 분과 참여 中)
2. APG 워크숍
○ 기후변화 및 에너지 전환 대응 댐 성능개선을 주제로 한국의 치수능력증대사업 및 댐 안전성 강화사업 사례 발표, 효과 홍보
3. Asia-Pacific Group of ICOLD(APG) 회의
□ (주제) 기후 회복력 강화 및 에너지 전환을 위한 댐 성능개선
□ (참가국)한국, 일본,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이란,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호주
○ 회원국 활동사항, 주요행사 개최 홍보 및 회장 제안사항 논의
* 한국대댐회(KNCOLD) 발표 : 강부식 국제협력부회장 (단국대 교수)
4. 국제심포지움
□ (주제) 공통의 도전, 함께하는 미래, 더 나은 댐
○ 한국대댐회는 총 11편 논문 제출
NO | 소 속 | 성 명 | 직 위 | 제 목 | 비 고 |
---|---|---|---|---|---|
1 | K-water | 강태호 | 선 임연구원 | SLM machine learning for the estimation of hydrological response in real time dam operation during flood events | 구두 발표 |
2 | K-water | 박진혁 | 수 석연구원 | Extreme Drought Management Considering Climate Change on Multi-purpose Dams | - |
3 | K-water | 조 용 | 수 석연구원 | Data Center Demonstration of Free-cooling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Hydrothermal energy in Deep dam water for 100 RT-class | 구두 발표 |
4 | K-water | 조현식 | 책 임연구원 | Utilizing Water Surfaces of Dams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in Republic of Korea : Centered on Floating PV | 구두 발표 |
5 | K-water | 정동규 | 선 임연구원 | Precautionary Management of Dams and River Basins under Climate Change: A 3D Analysis of Topographic Changes | 포스터 발표 |
6 | K-water | 김선응 | 차 장 | Analysis of the effect of reducing algae through the maintenance of the reservoir area in Yeongju Multipurpose Dam | 구두 발표 |
7 | K-water | 김민철 | 차 장 | Strengthening the seismic performance of an existing intake tower using a tuned mass damper | 구두 발표 |
8 | 한국수력원자력 | 안승보 | 과 장 | Development of waterline extraction system using U-net Model and utilization of dam displacement measurement | 포스터발표 |
9 | 국토안전관리원 | 최홍석 | 부 장 | Concept of the waterline monitoring system using a PTZ camera for dam safety | 포스터발표 |
10 | 한국농어촌공사 연구원 | 최병한 | 수 석연구원 | Development of emergency discharge and flood warning system for Dam Safety | 포스터발표 |
11 | 한국농어촌공사 연구원 | 이 백 | 책 임연구원 | Basic mix design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CSG method in Agricultural Reservoir Embankments | 포스터발표 |
5. 정기총회 (General Assembly)
○ 신임 총재 및 부총재(2) 선출
*(총재)인도 Devendra Sharma
*(부총재)아메리카존 파라과이 Luis Guillermo Vellacich Mas, 아프라카존 우간다 Harrison Mutikanga
○ 2027 국제대댐회(ICOLD) 대전 연차회의 준비사항 보고
○ 댐 안전은 ICOLD의 핵심 정체성으로, 국제 댐 전문가 리스트(ILDE) 추진을 위해 TC 운영
○ ICOLD 성명서로 에너지 전환과 기후변화 대응 댐·저수지 발제
○ 댐 사고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국제 댐 등록부 현행화 추진
○ 유럽존 주요 활동사항으로 댐과 저수지의 날 행사 추진
6. 기술총회(Congress)
□ (주제)기후변화, 미래지향 댐과 제방, 댐 및 제방 안전, 댐 지진 안전 ○ 주제별 댐 기술의 최신 기술동향과 통찰력 공유
7. CHINCOLD 워크숍
□ (주제)스마트 댐 안전관리 및 디지털·AI를 이용한 댐 설계, 시공 □ (활동)K-water 스마트 댐 안전관리 * IWHR(수리수전과학연구원)에서 기조연설 요청
Ⅲ 국제협력활동
1.미국대댐회(USD) 기술교류회 (5.21)
□ (주제) 미국대댐회(USSD)와 MOU(‘23.6) 후속 실행 프로그램 협의 □ (활동) 현 교류협력 기획안 실행력 담보를 위해, ’25.7월 온라인 실무회의 합의 - ‘26 USSD 컨퍼런스 시 Early Career Professional 교류 프로그램에 한국측 대표 인터네셔널 세션 초청 발표 요청 예정 * MOU 기반 소정의 등록비, 여행경비 등 일부 지원, KNCOLD 초청 미팅 기획 - ’26 ICOLD 멕시코 연차회의 시 댐 안전 모니터링 공동 워크샵 추진
2.캐나다대댐회(CDA) 기술교류회
□ (주제) 캐나다대댐회(CDA)와 MOU(‘23.6) 후속 실행 프로그램 협의 □ (활동) 후속 실행프로그램(기술교류, 공동행사 주관, 정보공유) 등 세부방안 협의 - ’25년 캐나다대댐회 컨퍼런스에 한국측 대표 인터네셔널 세션 초청 발표 * MOU 기반 소정의 한국대표 2인에 대한 부분적 경비 지원, 초청 레터 발송 예정 - ’26년 ICOLD 멕시코, ’27 대전 연차회의 시 댐 주변 공공안전을 주제로 단계적 파트너십 워크샵·교육훈련 운영 및 국제협력 모범 사례화 추진
3.일본대댐회(JCOLD) 기술교류회
□ (주제) 일본대댐회(JCOLD)와 지속가능한 댐 기술 국제협력 방안 모색 □ (활동) 2027 대전 연차회의 시까지 지속적인 우호 협력 증진 추진 - 댐 성능개선(Upgrade)를 주제로 한국과 일본의 실효적 협력을 추진 * 댐 성능개선은 금번 ICOLD 2025 연차회의 시 별도의 워크샵 개최, 광범위한 호응 * 일본과 한국을 필두로 ICOLD APG 및 연관 TC와 협력으로 2027 ICOLD 대전 연차회의에서 Joint Workshop을 별도 편성 추진 - 3S(Safe, Smart, Sustainable) 댐 성능개선에 관한 가이드라인 발간 추진 * 2027 ICOLD 연차회의를 목표로 양국의 적극적 참여와 유기적 협력을 기대
4.한중일 수자원 청년 기술교류 세미나
□ (주제) 한·중·일 3국의 수자원협력 도모 및 청년층을 위한 세미나 □ (활동) 한·중·일 3국의 홍수방어 및 수자원 활용 관련 기술동향 파악
5. ICOLD 사무국 간담회
□ (주제) ’27년 제95차 연차회의 준비사항 공유 및 향후 추진계획 논의 □ (내용) 실사 절차 및 기준관련 질의 및 실무소통 및 조율 방식 질의 - ‘26.5월 상반기 실사예정, 실사 당시 사무국 방문 일정 및 인원, 현장 점검 내용 등 구체 사례 공유 요청
6. 기술투어
○ 사천대학교 하천활용 수력발전 연구소 기술투어 - 낙차에 따른 퇴적물의 거동, 댐 주변 생태계 보호 등 관련 연구시설 견학 ○ Minjian강 수력발전댐 건설현장 기술투어 - 수력발전 및 항만시스템 구축을 위한 모래자갈댐 건설현장 방문 ○ Dujianyan 관개시스템 기술투어 - 고대 중국에서 건설하였으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수리시설 중 하나로 하천조절, 홍수 방지, 농업용수 공급 등 현재까지 활용되고 있는 시설
사진대지
![]() |
![]() |
![]() |
![]() |
기술분과위원회 워크숍 |
---|
![]() |
![]() |
![]() |
기술분과위원회 회의 |
---|
![]() |
![]() |
APG 지역회의 발표자료 | |
---|---|
![]() |
![]() |
![]() |
![]() |
APG 지역회의 | |
![]() |
![]() |
심포지엄 개막식 | 박동순 팀장(세션 좌장) |
![]() |
![]() |
조용 팀장(심포지엄 발표) | 조현식 책임(심포지엄 발표) |
![]() |
![]() |
강태호 선임(심포지엄 발표) | 김선응 차장(심포지엄 발표) |
![]() |
![]() |
한국대표단 단체사진 | |
![]() |
![]() |
발표자료 | |
![]() |
![]() |
![]() |
![]() |
![]() |
![]() |
정기총회 | |
![]() |
![]() |
CHINCOLD워크숍 |
![]() |
![]() |
![]() |
기술투어 |
---|
![]() |
![]() |
![]() |
![]() |
KNCOLD-USSD 미팅 | |
---|---|
![]() |
![]() |
![]() |
![]() |
KNCOLD-CDA 미팅 | |
![]() |
![]() |
KNCOLD-JCOLD 미팅 | |
![]() |
![]() |
KNCOLD-ICOLD 미팅 | |
![]() |
![]() |
KNCOLD 부스 운영 |
수집자료
국제대댐회(ICOLD) 회원국 댐 기술 심포지엄 홍보자료 | |
---|---|
![]() |
![]() |
![]() |
![]() |
기타 댐 기술 관련 자료 | |
![]() |
![]() |
![]() |
![]() |
접촉인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