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대댐회

ICOLD 연차회의

2025년 제93차 연차회의 및 제28차 총회(중국 청두)

목록

행사개요

1 국제대댐회(ICOLD) 개요

국제민간학술단체로서 회원국 상호간 대댐(댐고15m이상)의 설계, 시공, 운영에 관한 경험․정보교환 및 기술개발을 목적으로 설립
1928년 창설, 106개 회원국, 개인회원 10,000여명
총재 1명, 부총재 6명, 사무총장 1명, 28개 기술분과위원회로 구성
※ 한국대댐회는 1972년 67번째 회원국으로 가입
※ 웹사이트 : http://icold-cigb.org

2. 행사안내

□ (기 간) 2025. 5. 16(금) ~ 5. 23(금)
□ (장 소) 중국 청두 센추리 시티 국제 컨벤션 및 전시센터
□ (참가국) ) ICOLD 회원국
□ 주요내용

주요 프로그램 주요 내용 참석대상
Short Courses
단기교육과정
· 댐 안전관리, 댐기술 등 교육 컨텐츠 제공 관심회원
(추가비용 有, 사전등록 필수)
Technical Committee Workshop&Meeting
기술분과위원회 워크숍·회의
· 기술분과위원회 논의사항 사전검 토 및 의견 수렴
· 국가별 댐 관련 사례 토의 및 기 술교류 회의로서 주기적으로 토론 결과물(Bulletin) 편찬
기술분과위원회 위원 및 관심회원
일부 기술분과위원회 비공개 회의진행
Regional Club Meeting
ICOLD 지역회의
·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등 주요 지역 별 대댐회의 전년도 실적 및 차년도 계획 공유, 협력방안 논의 해당 지역의 대댐회 대표
(KNCOLD → APG(Asia Pacific Group) 회의 참가)
Symposium
국제심포지엄
· 매년 다른 주제에 대한 최신 기술 발표 및 사례 공유의 장으로서 구두발표와 포스터발표로 구성 주관국가 대댐회에서 논문 심 사위원회를 통해 선발된 논문 발표자 및 관심회원
Technical Tou
기술투어
· 주요 댐, 수자원 시설물 및 주요 명소 방문 관심회원
(추가비용 有, 사전등록 필수)
General Assembly
정기총회
· 각국 대댐회 회장의 연례회의로 국제대댐회 주요 안건 의결 각국 대댐회 대표
Congress
기술총회
· 국제대댐회에서 정한 의제에 대한 논문발표(3년마다 개최) ICOLD 기술위원회 및 조직위 원회에서 선발된 논문 발표자 및 관심회원

(심포지엄) Common Challenges, Shared Future, Better Dams
No. 세부주제
1 Precautionary management of dams and river basin under climate change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댐 및 하천 유역의 예방적 관리
2 Multifunctional development of dams and reservoirs
댐 및 저수지의 다목적 개발
3 Technologies for dam construction under complex (extreme) condition
복잡한(극한) 환경에서의 댐 건설 기술
4 Digital technology applied in dams and digital river basins
댐 및 디지털 하천 유역에 적용되는 디지털 기술
5 The role of dams in achieving the goal of reducing carbon dioxide emissions
탄소 배출 저감 목표 달성을 위한 댐의 역할

기술총회 의제    ※3년마다 개최(연차회의 심포지엄과 별개)
Q 108.Dams and reservoir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기후 변화 적응을 위한 댐 및 저수지
Q 109. Dams and levees fit for the future
    미래를 위한 댐 및 제방
Q 110. Safety of dams and levees facing extreme hydrological events
    극한 수문 현상에 대응한 댐 및 제방의 안전성
Q 111. Earthquake performance and safety of dams
    댐의 지진 성능 및 안전성

3. 전체일정(요약)

일정 오전 오후 저녁
5/16(금) · ICOLD 이사회
· 단기교육과정
· ICOLD T.C 위원장 회의
· 단기교육과정
· 씨티투어
5/17(토) · 기술분과위원회(T.C) 워크숍
· 단기교육과정
· ICOLD T.C 위원장 회의
· 단기교육과정
· 씨티투어
5/18(일) · 기술분과위원회(T.C) 회의
· CHINCOLD 워크숍
· 기술분과위원회(T.C) 회의
· 젊은 기술인 포럼(YPF)
· APG(Asia-Pacific Group) 회의
· CHINCOLD 워크숍
· YPF만찬
5/19(월) · 국제심포지엄 및 기술전시 개회식 · 국제심포지엄
· 기술전시
· 환영만찬
5/20(화) · 국제심포지엄
· 기술투어
· ICOLD 정기총회
· CHINCOLD 워크숍
· 기술전시
· 국제심포지엄
· 기술투어
· ICOLD 정기총회
· CHINCOLD 워크숍
· 기술전시
· 문화행사
5/21(수) · 제28차 총회 개회식
· 총회 의제발표 Question 108~109
· 기술전시
· 총회 의제발표 Question 108~109
· 기술전시
5/22(목) · 총회 의제발표 Question 108~109
· 기술전시
· 총회 의제발표 Question 110~111
기술전시
5/23(금) · 총회 의제발표 Question 110~111
· 기술전시
· 총회 의제발표 Question 110~111
폐회식
· 환송만찬

주요 프로그램 (일자 순)

1. 단기교육과정 (Short Courses)

□ (일 시) 2025. 5. 16(금)
□ (장 소) 중국 청두 센추리 시티 국제 컨벤션 및 전시센터
□ (참가비) ) USD 50 ~ 150 * 교육수료 시 수료증 제공 / 과목당 40명 이내
□ 교육과정

NO 주 제 시 간 금 액 주 관
1 BIM Design of reservoir dams
저수지 댐의 BIM 설계
종일 100 USD 중국전력건설공사
2 Hydropower stations and reservoirs dispatching and control
수력 발전소 및 저수지의 운용 및 제 어
* 현장투어 포함
종일 150 USD 삼협폭포 송출 및 통신 센터 베이징 IWHR 테크놀로지 유한회사 CSHE Cascade Dispatch and Control 기술위원회
3 New hydraulic challenges of water project at mountainous river
산악 하천에서의 수리적 도전 과제
* 실험실 투어 포함
종일 50 USD 쓰촨대학교 수리학 및 산악 하천 공학 국가중점 실험실
4 Design and Construction of Rock-Filled Concrete Dam
암석 충전 콘크리트 댐의 설계 및 건설
* 현장투어 포함
종일 150 USD Rock-Filled Concrete Dam of China Society for Hydropower Engineering 기술 위원회

2. 기술분과위원회(T.C) 워크숍

□ (일 시) 2025. 5. 17(토) 반일 또는 종일

NO 주 제 시 간
1 Advanced Numerical Modeling Applied to Dam Engineering
댐 공학에 적용된 고급 수치 모델링
반일
2 Seismic Analysis Methods for Embankment Dams
제방댐의 지진 분석 방법
반일
3 Chutes, stilling basins, upgrading and surveillance of spillways
배수로의 슈트, 여유 통로, 업그레이드 및 감시
반일
4 Compaction of Earthfill in Embankment Dams
제방댐의 흙 다짐
반일
5 Experience and practice of CFRD: a 40 years review
CFRD의 경험과 실천: 40년 회고
종일
6 Progress of the bulletin on dam safety risk assessment and the bulletin on dam safety guideline
댐 안전 위험 평가와 댐 안전 지침에 관한 보고서의 진행
반일
7 Analysis and simulation of dam failure flood
댐 파괴 홍수 분석 및 시뮬레이션
종일
8 Reliability based Preservation Concept and Challenges for Historical Dams
역사적 댐의 신뢰성 기반 보존 개념과 도전 과제
반일
9 Cascade Hydropower Stations and Reservoirs Forecasting and Dispatching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수력 발전소와 저수지 예측 및 운용 기술 및 적용
반일
10 Safety Management of Tailings Dams
Tailing댐 안전 관리
종일
11 The Future Activities of the TC Levee
TC Levee의 향후 활동
종일
12 Operation, Maintenance and Rehabilitation of Dams
댐의 운영, 유지보수 및 복원
종일
13 Public Awareness and Education Examples of Successful Communication Strategies
공공 인식 및 교육: 성공적인 소통 전략 사례
반일
14 Cemented Material Dams
시멘트 재료 댐
종일
15 High-quality Development of Resettlement due to Reservoirs
저수지로 인한 이주지의 고품질 개발
반일
16 Flood Evaluation and Smart Operation of Water Infrastructures
홍수 평가 및 수자원 인프라의 스마트 운용
종일
17 Floating PV on dam reservoirs
댐 저수지의 부유식 태양광 발전
반일
18 Experiences of Integrated Management of Dams and Basins, for Resiliency and Sustainable
댐과 유역의 통합 관리 경험: 회복력과 지속 가능성
반일
19 Hydro mechanical Equipment
수력 기계 장비
종일
20 After 15 Years of Contribution: What we learned together and what can we do next?
15년의 기여 후: 우리가 함께 배운 것과 앞으로 할 일
반일
21 Capacity Building in ICOLD
ICOLD의 역량 강화
반일
22 Charging Forward with Gender Diversity & Inclusion
성별 다양성과 포용성에 대한 추진
반일
23 Dam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the Context of Energy Transition
에너지 전환 맥락에서의 댐 및 수자원 관리
반일

3. 기술분과위원회(T.C)회의

□ (일 시) 2025. 5. 18(일) 8:30 ~ 18:00
□ (장 소) 참석인원에 따라 추후 확정
□ (주요내용) 위원장 및 위원 협희 후 추후 확정
□ (주요내용) 위원장 및 위원 협의 후 추 후 확정
※ 경우에 따라 일부 T.C 비공개 회의 진행

4. CHINCOLD 워크숍

□ (일 시) 2025. 5. 18(토), 5. 20(화) 반일 또는 종일
□ (장 소) 추후 확정

NO 주 제 시 간
1 Constituting river ethics and building ecological dams
하천 윤리 구성 및 생태 댐 건설
5/18 오후
2 Reservoir dams and novel power system
저수지 댐과 새로운 전력 시스템
5/18 종일
3 Hydro-wind-solar-PSH-hybrid power base
수력-풍력-태양광-펌프 저장 하이브리드 전력기지
5/18 오전
4 Innovation and practice in dam engineering under complex geological condition
복잡한 지질 환경에서의 댐 공학 혁신 및 실천
5/18 오후
5 Digital and intelligent technologies for dam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ce
디지털 및 지능형 기술을 활용한 댐 설계, 건설 및 유지관리 고대 댐과 인류 문명
5/20 종일
6 Ancient dams and human civilization
저수지 및 댐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이점
5/20 오후
7 The benefits of reservoirs and dams in regional economy
저수지 및 댐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이점
5/20 오전
8 Dam design and risk management based on safety and resilience concept
안전 및 복원력 개념에 따른 댐 설계 및 리스크 관리
5/20 오전
9 Development and porspect of pumped storage power stations
펌프 저장 발전소의 개발 및 전망
5/20 종일
10 Termites control technologiestermite
방제 기술
5/20 오후
11 Challenges and countermeasures of reservoir sedimentation
저수지 퇴적물 문제와 대응책
5/20 오전
12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green hydropower development
통합 수자원 관리 및 친환경 수력 발전 개발
5/20 오후

5. APG(Asia-Pacific Group) 회의

국제대댐회(ICOLD) 지역회의(Regional Club Meeting)으로, 아 시아, 유럽, 아메리카 등 주요 지역별 대댐회의 전년도 실적 및 차년도 계획 공유, 협력방안 논의, 주제발표 등
※ 한국대댐회(KNCOLD) ☞ APG(아-태지역) 회의 참석
□ (일 시) 2025. 5. 18(일)
□ (장 소) 추후 확정
□ (주 최) 의장국(일본대댐회, JCOLD)
□ (주 제) 추후 확정
□ (회의안건) 국가별 최근 활동 보고 및 주제발표 등
※ 한국대댐회(KNCOLD) 발표자 : ㅇㅇㅇ (미정)

6. 국제심포지엄

매년 다른 주제에 대한 최신 기술 발표 및 사례 공유의 장으로서 구두발표와 포스터발표로 구성
□ (일 시) 2025. 5. 19(월) ~ 20(화)
□ (장 소) 추후 확정
□ (주 제) Common Challenges, Shared Future, Better Dams

No. 세부주제
1 Precautionary management of dams and river basin under climate change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댐 및 하천 유역의 예방적 관리
2 Multifunctional development of dams and reservoirs
댐 및 저수지의 다목적 개발
3 Technologies for dam construction under complex (extreme) condition
복잡한(극한) 환경에서의 댐 건설 기술
4 Digital technology applied in dams and digital river basins
댐 및 디지털 하천 유역에 적용되는 디지털 기술
5 The role of dams in achieving the goal of reducing carbon dioxide emissions
탄소 배출 저감 목표 달성을 위한 댐의 역할

(국내 논문제출 현황) 총 5편

◦ SLM machine learning for the estimation of hydrological response in real time dam operation during flood events (강태호 박사, K-water)
◦ Extreme Drought Management Considering Climate Change on Multi-purpose Dams (박진혁 박사, K-water)
◦ Data Center Demonstration of Free-cooling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Hydrothermal energy in Deep dam water for 100 RT-class (조 용 박사, K-water)
◦ Utilizing Water Surfaces of Dams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in Republic of Korea : Centered on Floating PV (조현식 박사, K-water)
◦ Analysis of the effect of reducing algae through the maintenance of the reservoir area in Yeongju Multipurpose Dam (김선응차장, K-water)
◦ Development of waterline extraction system using U-net Model and utilization of dam displacement measurement (안승보과장, 한국수력원자력

7. 투어

시티투어 ①

□ (일 시) 2025. 5. 16(금) 오후
□ (장 소) 청두박물관 및 관자이 골목

□ (B 코 스) 자이언트 판다 번식 연구 기지

시티투어 ②

□ (일 시) 2025. 5. 17(토) 종일
□ (C 코 스) 두장옌 프로젝트 & 칭청산 투어
(두장옌 프로젝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세계자연유산 및 세계 관개유산 등재, 약 2,200년 동안 지속적으로 운영된 수리시설로, 청두 지역 역사적 수자원 관리 시스템
(칭청산)도교의 문화와 자연경관이 조화를 이루는 자연명소로, 중국 고대 수자원 관리 기술 탐방

기술투어

□ (일 시) 2025. 5. 20(화) 종일
□ (A 코 스) 두장옌 프로젝트 & 칭청산 투어 * 시티투어 C코스 동일
□ (B 코 스)즈핑푸 댐 & 리자얀 댐 투어
(즈핑푸 댐)민강(Min River) 상류에 위치한 대규모 수자원 관리 시설
(리자얀 댐)쓰촨성청두에위치한도시및농촌용수공급을위한다목적댐

8. 정기총회

각 국 대댐회 회장의 연례회의로, 국제대댐회(ICOLD) 주요안건* 의결
* ICOLD 예·결산, 임원 선출, 차기 연차회의 계획 검토 등
□ (일 시) 2025. 5. 20(화) 종일
□ (장 소) 추후 확정
□ (참가규모) ICOLD회원국 대표(위임인) 및 분과위원장 약 80여명
□ (주요안건) ICOLD 총재 선출, 차기 ICOLD 연차회의 홍보 등

후보자 성명 국적 추천 주요활동
Dean B.Durkee 미국 미국대댐회 · ICOLD 부총재 (‘22~)
· USSD 회장 (‘19~’21)
· 댐 기술경력 33년
Devendra K Sharma 인도 인도대댐회 · ICOLD 부총재 (‘19~23)
· INCOLD 회장 (‘18~’22)
· 수자원, 에너지 분야 경력 43년

9. 기술총회

국제대댐회(ICOLD)에서 정한 의제에 대한 논문발표(3년마다 개최)

※ 제28차 ICOLD Congress (2025, 중국 청두)

NO. 주제
Question 108 Dams and reservoir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댐과 저수지)

1. Dams for Pumped Storage: Characteristics, Design, and Implementation
   양수 발전을 위한 댐: 특성, 설계 및 구현 사례
2. Off-River Reservoirs for Water Storage and Flood Mitigation
   하천 외 저수지의 물 저장 및 홍수 완화 기능
3. Coastal Dams and Tidal Power Plants
   해안 댐 및 조력 발전소
4. Dams for Aquifer Recharge and Other New Concepts
   대수층 재충전 및 기타 새로운 개념을 위한 댐
5. Floating Solar Power on Reservoirs: Opportunities and Risks
   댐 저수지에서의 수상 태양광 발전: 기회와 위험


Question 109 Dams and levees fit for the future
(미래에 적합한 댐과 제방)

1. Management of an aging portfolio of dams in terms of operation, maintenance and rehabilitation, including risk-based approaches
   운영, 유지보수 및 개보수를 포함한 노후 댐 포트폴리오 관리 (위험 기반 접근법 포함)
2. Safety during construction and rehabilitation
   건설 및 개보수 과정에서의 안전성
3. Special case for small dams and levees
   소규모 댐 및 제방의 특수한 관리 사례
4. Impact of contracting practices on dam safety (e.g. private sector involvement, EPC contracts)
   댐 안전성에 대한 계약 방식의 영향 (예: 민간 부문 참여, EPC 계약 등)
5. Increasingly difficult sites - dams and their new challenges
   점점 더 까다로워지는 부지 조건 - 댐과 새로운 도전 과제
6. Need for global capacity building
   전 세계적인 역량 강화를 위한 필요성


Question 110 Safety of dams and levees facing extreme hydrological events
   (극단적 수문현상에서의 댐 및 제방 안전성)

1. Assessment of extreme events (e.g. floods, droughts, typhoons/hurricanes, glacial lake outburst floods)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 accounting for uncertainty
   기후 변화와 불확실성을 고려한 극한 수문 현상(홍수, 가뭄, 태풍/허리케인, 빙하호 폭발 홍수 등) 평가
2. Assessment for the safety of structures for extreme floods; management options (e.g. increasing dam height, spillway capacity, reservoir operation)
   극한 홍수에 대한 구조물의 안전성 평가 및 관리 방안 (댐 높이 증가, 여수로 용량 확대, 저수지 운영 등)
3. Flood forecasting, hydraulic management of multiple projects within river systems
   홍수 예측 및 하천 시스템 내 다수 프로젝트의 수리학적 관리
4. Reassessment of the flood data and mitigation (e.g. fuse devices, overflow resistance, controlled breach formation, warning and evacuation,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홍수 데이터 및 저감 대책 재평가 (퓨즈 장치, 월류 저항, 제어된 파괴 형성, 경보 및 대피, 위기 및 비상 관리 등)


Question 111 Earthquake performance and safety of dams
   (댐의 지진성능 및 안전성)

1. Static, seismic and post-seismic monitoring of dams
   댐의 정적, 내진 및 지진 후 모니터링
2. Feedback from earthquake failures, including tailings dams and levees
   지진으로 인한 댐 및 제방(광미댐 포함) 피해 사례 분석
3. Importance of multiple features of earthquake hazard (e.g. ground shaking, surface fault movements, mass movements)
   지진 재해의 다양한 요소 중요성 (지반 진동, 단층 이동, 산사태 등)
4. Seismic design and performance criteria for dam structure, reservoir rim and impacted area
   댐 구조물, 저수지 경계 및 영향 지역의 내진 설계 및 성능 기준
5. Earthquake safety evaluation of all types of dams and safety-critical elements (e.g. spillways, low-level outlets)
   모든 유형의 댐 및 주요 안전 요소(여수로, 저수로 등)의 지진 안전성 평가


(국내 논문제출 현황) 총 1편

Emprirical Seismic Data Interpretation for Emban (박동순 박사, K-water)

10. 사교행사

환영만찬
□ (일 시) 2025. 5. 19(월) 저녁
□ (장 소) 5F 크리스탈홀
□ (주요내용) 참가자 간 자유롭고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의 네트워킹 기회, 중국 지역 특산 요리 및 음료 제공

문화행사
□ (일 시) 2025. 5. 20(화) 저녁 ※소요시간: 약 1시간
□ (장 소) 청두 진사유적 박물관 (Jinsha Site Museum)
□ (참가인원) 약 1,500여 명
□ (주요내용) 진사유적박물관 투어 프로그램
 ◦ 고대 유물을 감상할 수 있는 박물관 투어
 ◦ 사천(쓰촨) 지역의 전통 공연 및 미식 체험
 ◦ 청두 3,000년 도시 역사의 기원과 고대 촉(蜀) 문명의 중심지 탐방
 ◦ 세계적으로도 희귀한 상아, 금, 옥 유물 및 태양신과 불새 금장식(太阳神鸟金饰) 등 대표 유물 전시

환송만찬
□ (일 시) 2025. 5. 23(금) 저녁
□ (장 소) 5F 크리스탈홀
□ (주요내용)중국 전통 공연 및 지역 예술가들의 무대 감상 및 식사 제공

등록 및 숙소 안내

1.등록비

* USD 1$ = KRW 1446.9 원 (`25. 3. 7준) / VAT 포함

구분 일반등록 (‘25. 2. 28 ~)
등록비(USD) 등록비(KRW)
ICOLD 회원국
(5. 16 – 23)
1,560 $ 2,257,164
심포지엄
(5. 19 ~ 20)
545 $ 788,561
젊은 엔지니어
(만 35세 미만)
780 $ 1,128,582
동 반 자 620 $ 897,078

◦등록 홈페이지:https://www.icold-cigb2025.com/web/index/
◦등록 포함사항

전체기간 심포지엄 Only 동반자
· 심포지엄입장권 및 논문집 기술전시
· 환영·환송만찬 시티투어
· 중국 댐 건설70년사
· 가방(런치티켓(2일간) 등)
· 심포지엄 입장권 및 논문집 기술전시
· 환영만찬
· 가방(런치티켓(2일간) 등)
· 심포지엄 및 기술총회 개회식 입장권
· 시티투어, 문화행사
· 가방(런치티켓(2일간) 등)

◦결제방법: 신용카드(Visa, Mastercard, JCB) 및 해외송금
◦환불규정

‘25. 3. 30 까지 * 중국시간기준 ‘25. 4. 1 이후 * 중국시간기준
50% 환불불가

◦문의처: icoldcigb2025@iwhr.com
※ 등록 후, 한국대댐회 사무국(admin@kncold.or.kr / 042-870-7317)으로 반드시 통보 요망

2.숙소

인터컨티넨탈 센추리 시티 청두

위 치: No.88, shijicheng Road, High-tech Zone, Chengdu *행사장도보약10~15분
금 액: 880위안 (약 176천원/1박)
* 세금, 조식포함 / ICOLD 참가자 할인예약기준
** 등록홈페이지 內 숙소예약 할인 시 할인가(상단 금액) 적용


홀리데이 인 청두 시티 웨스트타워

위 치: No.208 West Tower, Century City Boulevard Chengdu *행사장도보약5~10분
금 액: 698위안 (약 140천원)
* 세금, 조식포함 / ICOLD 참가자 할인예약기준
** 등록홈페이지 內 숙소예약 할인 시 할인가(상단 금액) 적용

붙임 1국제대댐회(ICOLD) 임원 현황

구분 프로필
총재 ∙ 성 명 : Michel Lino (2022-2025)
∙ 국 적 : 프랑스
∙ 소 속 : 프랑스대댐회
∙ E-mail : lino@isl.fr
부총재 Asia-Pacific Zone ∙ 성 명 :Tetsuya SUMI (2023-2026)
∙ 국 적 : 일본
∙ 소 속 : 일본대댐회
∙ E-mail : sumi.tetsuya.2s@kyoto-u.ac.jp
Asia-Pacific Zone ∙ 성 명 :Chen GUANFU (2024-2027)
∙ 국 적 : 중국
∙ 소 속 : 중국대댐회
∙ E-mail : chenguanfu@powerchina-intl.com
America Zone ∙ 성 명 :Dean Durkee (2022-2025)
∙ 국 적 : 미국
∙ 소 속 : 미국대댐회
∙ E-mail : ddurkee@gfnet.com
Africa Zone ∙ 성 명 :Quentin Shaw (2022-2025)
∙ 국 적 : 남아프리카공화국
∙ 소 속 : 남아프리카공화국 대댐회
∙ E-mail : quentin@arqconsulting.net
Europe Zone ∙ 성 명 :Liza Bensassonn(2023-2026)
∙ 국 적 : 그리스
∙ 소 속 : 그리스 대댐회
∙ E-mail : lbensasson@enm.gr
Europe Zone ∙ 성 명 :Laurent MOUVET(2024-2027)
∙ 국 적 : 스위스
∙ 소 속 : 스위스 대댐회
∙ E-mail : lmouvet@hydroperation.ch
사무총장 ∙ 성 명 : Frederic Correge (2024 ~ )
∙ 국 적 : 프랑스
∙ 소 속 : 프랑스대댐회
∙ E-mail : secretaire.general@icold-cigb.org

붙임 2국제대댐회(ICOLD) 기술분과위원회(T.C) 국내위원 현황

※국제대댐회(ICOLD) 기술분과위원회(T.C) 국내위원 현황

No. Name of Technical Committee 위원
A  댐 설계 및 해석의 수치해석  / 2023-2025 (COMPUTATIONAL ASPECTS OF ANALYSIS AND DESIGN OF DAMS) 이 백(농어촌)
B  댐 내진설계 (SEISMIC ASPECTS OF DAM DESIGN) / 2023-2026 박동순(K-water)
C  댐수리학 (HYDRAULICS FOR DAMS) / 2021-2025
D  콘크리트댐 (CONCRETE DAMS) / 2024-2027 장봉석(K-water)
E  필댐 (EMBANKMENT DAMS) 2023-2027
F  수자원계획 (ENGINEERING ACTIVITIES WITH THE PLANNING PROCESS FOR WATER RESOURCES PROJECTS) / 2014-2025 최병만(유신)
G  환 경 (ENVIRONMENT) / 2020-2025
H  댐안전 (DAM SAFETY) / 2024-2028
HWS  Historical water structures (Water Heritage) / 2024-2027
I  댐 주변 공공안전 (PUBLIC SAFETY AROUND DAMS) / 2022-2025 박원철(홍익기술단)
J  저수지 퇴사 (SEDIMENTATION OF RESERVOIRS) 2023-2026 정관수(충남대)
K  수력발전소&저수지 통합운영 (INTEGRATED OPERATION OF HYDROPOWER STATIONS AND RESERVOIRS) 2023-2027 차기욱(한종), 박정수(K-water)
L  TAILINGS DAMS & WASTE LAGOONS / 2023-2027
LE   제 방 (Levees) / 2024-2025 조성배(K-water), 최봉혁(한국건설기술연구원)
M  댐의 운영, 유지관리 및 재개발 (OPERATION, MAINTENANCE AND REHABILITATION OF DAMS) / 2023-2026 김도균(K-water)
N  대중인식과 교육 (PUBLIC AWARENESS AND EDUCATION) / 2024-2025
O  세계의 댐 등록 (WORLD REGISTER OF DAMS AND DOCUMENTATION) / 2024-2027 김현식(K-water)
P  시멘트댐 (CEMENTED MATERIAL DAMS) / 2020-2025
Q  댐 상태점검 (DAM SURVEILLANCE) / 2024-2025 최병한(농어촌)
RE   Resettlement due to Reservoirs / 2021-2024
S  홍수평가와 댐안전 (FLOOD EVALUATION AND DAM SAFETY) / 2024-2026 전경수(성균관대)
TRS  Tropical residual soils / 2023-2026
T  21세기 댐/저수지 전망과 새로운 도전 (PROSPECTIVE AND NEW CHALLENGES FOR DAMS AND RESERVOIR IN THE 21st CENTURY) / 2023-2027
U  댐유역관리 (DAMS AND RIVER BASIN MANAGEMENT) / 2024-2027 김형수(인하대)
V  유체역학 설비 (HYDROMECHANICAL EQUIPMENT) / 2023-2026
X  Financial and advisory (ad hoc committee)
Y  기후변화 (CLIMATE CHANGE) / 2024-2025 권현한(전북대)
Z   역량강화와 댐 (CAPACITY BUILDING AND DAMS) / 2024-2028 염경택(성균관대)